박성일 군수는 13일 국토부와 고용노동부를 잇따라 방문,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사회적경제 인재양성체계 구축 지원을 건의했다.
박 군수는 국토부 방문에서 “완주군은 수소시범도시로 새만금 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와 함께 국내 수소상용차 산업과 수조 전주기(全週期) 밸류 체인이 구축돼 있다”며 “수소기업을 집적화할 수 있는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의 입지타당성 조사와 최종 후보지 선정을 적극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다.
완주군이 추진해온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은 수소 전문기업을 한곳에 모아 국내 친환경 수소산단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중대 사업이다. 지난 20대 대선 공약과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된 상황이다.
박 군수는 “새만금이 위치한 전북은 환서해안권 벨트의 전초기지로, 수소상용차 산업의 중심지이자 관련 부품산업 육성의 최적지”라며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은 새만금과 수소 시범도시 완주군의 ‘섹터 커플링’을 통한 탄소중립 도시 구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완주군에 지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 박 군수는 고용부 방문에서 “사회적 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완주군에 ‘사회적경제 인재양성체계 구축’을 위한 내년도 국비 20억 원을 반영해 달라”고 건의했다.
박 군수는 이와 관련, “사회적경제 1번지인 완주와 연계한 체계적인 전문 교육기관을 설립할 경우 사회적경제 조직의 핵심리더와 현장 활동가, 전문강사, 종사자 등을 육성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며 “전북 혁신도시 안에 전문 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내년도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비 등 20억 원을 반영해 달라”고 강력 요구했다.
한편 국내 사회적경제 조직은 최근 4년 동안 9600여개에 7만4000여 명의 활동가가 늘어날 정도로 활성화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경우 지난 2016년 1600여 개에 3만7000여 명이 활동했으나 2020년에는 2700여개에 4만9000여 명이 종사할 정도로 급성장했고, 협동조합과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