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6월의 역사인물에 항일운동가 구파 백정기 의사 선정

무정부주의 항일 애국투사

정읍시 6월의 역사인물에 구파 백정기 의사 선정

정읍시가 6월의 역사 인물로 일제 강점기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인 ‘구파 백정기’ 의사를 선정했다.

백정기 의사는 전북 부안 출생으로 12세가 되던 해 외가를 따라 고부군 흔향리(현 정읍시 영원면)로 이사해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19년 8월 동지 4명과 함께 인천에 있는 일본군 시설물을 파괴하려다가 실패해 만주 봉천(奉天)으로 망명했다.

1925년에는 상해에서 재중국 무정부주의자연맹에 가입했으며, 7월에 총파업 운동이 일어나자 아나키스트연맹과 연락하고 노동운동을 전개해 10만여 명의 노동조직을 만들었다. 

또한 1932년 2월에는 상해사변 직후 흑색공포단(BTP)을 조직하고 일제에 대한 투쟁과 파괴 공작을 추진했다.

1933년 3월 상해 홍커우에서 중국 주재 일본대사가 연회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 습격할 준비를 하고 대기하다가 일제의 역습을 받아 붙잡혔다.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일본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지병으로 1934년 6월 5일 순국했다. 유해(遺骸)는 일본에 묻혔다가 광복 후 1년 만인 1946년 7월 이봉창, 윤봉길 두 의사의 유해와 함께 조국에 봉환(奉還)되어 서울 효창공원 삼의사 묘역에 안장(安葬)됐다.

정읍시는 2004년 6월 영원면에 백정기 의사 기념관을 개관하고 영정을 봉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