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이 최근 차기 전북도당위원장 선출과 관련 “전북 국회의원들이 모여 차기 도당위원장을 선출과 관련한 논의를 한 일이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7일 국회의사당 의원회관 자신의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6·1지방선거에 대한 소회와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이날 “아직은 차기 도당위원장에 대한 얘기는 해본 적이 없다”면서 “이제 선거가 막 끝났기 때문에 아직 다음 도당위원장 추대를 이야기하기엔 이른 시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2년간의 도당에 대한 평가와 함께 다음 위원장을 누가 할 것인가에 대해선 진지한 협의가 필요하다”면서 “아직은 이 문제로 의원들이 모인 바 없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김관영 당선인이 전북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강조한 전북지사-전북 국회의원 조찬모임 정례화를 국회의원의 관점에서 설명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선거를 치르면서 많은 말이 나왔지만 결국 당심도 민심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며 “민심은 김관영을 선택했다. 그렇다면 도민이 선택한 사람과 협력해서 전북을 발전시키는 게 정치인의 임무”라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김 당선인과 만나서 대화를 나눴는데 지향점이 상당히 일치했다”며 “이제는 예산철이나 특별한 때 아쉬울 때만 만나는 게 아니라 도지사와 국회의원이 허심탄회하게 소통하는 자리를 만들기로 했다”고 전했다.
전북·새만금특별자치도와 관련한 언급도 있었다. 순리대로라면 강원도 특별자치도 법안과 함께 전북도 법안이 통과됐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당 입장에선 강원의 상황이 워낙 급박한 반면 전북에서 경쟁의 정치원리가 작동하지 않다보니 아쉬운 결과가 생겼다는 의미다.
특별자치도 법안과 관련해선 김관영 당선인과 전북정치권이 통과를 위해 역량을 집결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선거기간 내내 자신을 괴롭혔던 ‘공천 문제’에 대해선 “그 어느 때보다 공정하게 했고, 공천배제엔 명확한 사유가 있었다”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과거엔 도당의 공천시비가 이것보다 더 했고, 실제 선거 결과에서도 민주당 후보들이 대부분 승리했다. 저의 이러한 입장을 자화자찬이라고 평가하는 데 동의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