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 선정까지 마친 남원 공공의대가 5년째 표류하는 것은 전북 정치권의 무능함이 어느 정도인지 잘 드러낸다. 폐교된 서남대 의대 정원을 활용해 국가적 공공의료 인력의 안정적 배출과 공급을 위한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 설립 법안이 지금까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 전북에 의대 신설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고 기존 전북 몫 의대 정원을 공공의료 인력 양성으로 대체하려는 것인데도 20대 국회에 이어 21대 국회에서도 전혀 진척이 안 되는 것은 전북 정치권의 무능과 무기력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21대 후반기 상임위 배치를 앞두고 공공의대 관련 법안을 다루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전북 지역구 국회의원은 단 한 명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자칫 남원 공공의대 설립이 물건너갈 우려가 높다. 공공의대를 주관하는 상임위에 지역구 국회의원 하나 없는데 누가 전북 현안을 챙겨주겠는가. 강원도는 지역구 국회의원이 8명에 불과한데도 지난달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법안이 여야 이견 없이 국회를 통과해 내년 6월 특별자치도가 출범하게 된다. 전북은 지역구 의원이 강원보다 2명이 더 많지만 지난 5년간 도대체 무얼 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그것도 문재인 정부 5년간 집권당으로서 지역 현안 하나 챙기지 못했다는 게 말이 되는가.
남원 공공의대 설립이 장기 표류하면서 타 시·도에서 공공의대 유치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더욱이 사스 메르스에 이어 코로나바이러스 원숭이두창 등 새로운 감염병이 계속 출현함에 따라 공공의료 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더해가고 있다. 그런데도 전북 지역구 국회의원들은 남원 공공의대 법안을 다루는 국회 보건복지위 신청을 기피하고 있다. 사실상 전북 몫의 서남대 의대 정원을 포기하겠다는 처사로 보인다. 어찌 이러고도 지역구 국회의원을 하겠는가. 지역 현안에 뒷짐 진 채 국회의원 행세를 할 수 있겠는가.
남원 공공의대는 전북 정치권이 반드시 살려내야 한다. 없던 것을 새로 요구하는 것도 아니고 기존 의대 정원을 명칭만 바꿔 유지하는 것인데 이것마저 못해낸다면 정치할 자격이 없다. 국회의원직을 걸고서라도 남원 공공의대는 관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