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지역사회의 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지난 6·1지방선거에 이어 14일에도 토론회 형식으로 계속되는 모양이다.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말이 있지만, 무분별한 밀어붙이기 보다는 '줄탁동시'라는 말을 조금 새겨 추진하는 통합 논의가 돼야 하지 않을까.
2년 전 4·15 총선을 앞두고 전북일보와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전주 지역 여론조사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최고 관심사로 ‘전주시와 완주군 통합’이 꼽혔다. 전주시 3개 선거구의 평균 찬성율은 27.4%였다.
하지만 과거 세 차례에 걸친 통합 실패와 완주지역 여론을 감안할 때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전주의 짝사랑일 뿐이다. 열쇠를 쥔 완주 주민들 반응은 시큰둥하니, 그저 ‘전주 이야기일 뿐’이다.
‘완주·전주 통합’은 그동안 세 번(1997년, 2009년, 2013년) 시도 됐지만 번번이 물거품 됐다. 군의회가 반대하고, 군민이 반대했다.
행정단위도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광역화를 해야 제대로 된 지역발전을 이루고, 주민 삶도 윤택해 질 수 있다는 전주 측 주장은 ‘완주가 전주에 일방적으로 흡수통합 되고, 쓰레기 매립장 등 전주시권 유치가 어려운 혐오시설 투기장이 될 것이 뻔하다’는 등 완주 쪽의 이런 저런 반발에 밀려버렸다.
과거 잇따른 실패에도 불구하고 전주•완주통합 논의가 계속되는 것은 창원시와 청원시 등 타지역 시군 통합 시너지 효과를 강건너 불구경이나 하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을 보여준다. 정부의 메가시티 정책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지난 6.1지방선거전에서 전북도지사와 전주시장, 완주군수 후보들이 과거와 달리 완주·전주 통합에 전향적 자세를 보인 것은 주목할 만하다.
당시 유희태 등 완주군수에 출마한 후보들은 단계적, 기능적 통합을 많이 얘기했다. 유희태 완주군수 당선인은 “그간의 과정을 정확히 진단하고 또 경제적 통합에 이어 교통과 문화예술 등으로 확산시켜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어쨌든, 그간 전주와의 통합을 세 번이나 물리친 완주군은 일단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고 홀로서기에 성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경제와 복지, 문화, 교육, 관광 등 모든 면에서 다른 지자체에 뒤지지 않는 ’으뜸도시’ 위상을 갖췄을 때 만약의 통합 논의에서도 유리할 것이다. 인접 대도시와 통합하지 않고도 스스로 발전을 일궈낸 기초지자체의 차별화된 ‘성공 신화’를 쓰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런 연유에서 여섯 번 도전 만에 군수 자리에 오르게 된 유희태 당선인의 어깨가 가볍지 않다.
유 당선인은 완주만의 정체성을 갖추는 데 군정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 전주시 변방의 완주군이 아니라 독자세력 완주군의 위상을 확고히 해야 한다. ‘전주 옆 완주’나 ‘전주 근방 완주’가 아니라 ‘완주’라는 말 하나로 완주군의 위상이 통하게 해야 한다.
완주군은 2100년 전 철기시대 전후 첨단 하이테크놀로지의 위상을 갖춘 도시였다. 가야와 마한, 후백제 시대 유물유적이 쏟아지면서 고고학계 관심 지역이 됐다. 청정 자연환경, 로컬푸드의 본고장, 320만 평 산업단지 등은 완주군의 존재감을 북돋우고 있다.
‘조선왕조의 본향 전주’처럼 똑 부러지게 ‘완주의 정체성이 뭐냐’는 질문 앞에서 완주인들이 자긍심 갖고 ‘○○○ 완주’를 자랑스럽게 얘기해야 한다.
보름 후 출범하는 유희태 시대를 앞두고 '완주군수직 인수위원회'가 지난 10일 공식 출범했다.
미래 핵심 성장동력 수소경제도시 등 현안이 차고 넘치지만, 완주군민의 마음을 하나로 엮어내고, 완주군호를 굳게 잡아줄 방향타를 제대로 설정하고 대항해에 나서기 바란다.
/김재호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