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취미로 뜨개질 허는 것을 좋아혔어. 내가 입은 것 허고 손녀, 우리 공주 준 것 허고, 한지공예 했던 것 모아서 전시허는 건데, 특별한 것은 없어.”
진북생활문화센터(센터장 한천수)에서 실 소재 작품, 한지 공예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 김점순(84) 작가의 말이다.
김점순 작가는 오는 22일까지 진북생활문화센터 2층 전시공간 소소에서 시간과 생활 담긴 작품을 전시하는 생활문화 전시전 ‘뜨개로 뱅글뱅글’을 연다.
전시에서는 김점순 작가가 하나씩 하나씩 떠서 입었던 옷,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된 손자, 소녀의 돌 무렵 선물했던 옷과 가방, 며느리를 위해 선물한 옷, 열쇠집, 골프장갑 등 생활과 밀접한 작품 등을 볼 수 있다. 가족에 대한 정성과 세월, 시간의 흔적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작품으로 가득하다.
전시 작품 중 실 소재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한 올의 실로, 한지 공예 작품은 종이류를 활용해 견고한 합지와 기성 도안, 직접 도안한 종이 등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전시된 작품은 짧게는 작년부터 길게는 70년을 훌쩍 넘긴 실생활에 사용하는 생활 물품이다.
김점순 작가는 마스크를 목에 걸 수 있는 마스크 스트랩을 일일이 떠서 진북생활문화센터 회원과 사무실 직원들에게 선물했다. 이에 사무실 한 직원은 김점순 작가의 손재주를 단번에 알아채고 전시를 제안했다. 김점순 작가의 전시가 열린 이유기도 하다.
김점순 작가는 "취미로 뜨개질을 했었다. 그러다 보니 뜬 게 많이 있었고, 주로 내가 입은 것을 전시하게 됐다. 가족들이 모두 각자 바쁘게 살다 보니 전시회 한다고 모두에게 알리지는 못했다. 다 바쁘게 사는데, 알려서 뭐 하겠나"라며 "매일 ‘우리 공주’라고 부르는 손녀가 있는데 작품 예쁘다고, 친구들도 예쁘다고 한다고 전화 왔다. 그 한 마디도 내겐 힘이 됐다"고 말했다.
전시 기간 내 화요일과 금요일 2시에서 4시 사이에는 김점순 작가도 만날 수 있다. 전시 관람은 무료다. 진북생활문화센터 전시, 관람 및 생활문화 관련 프로그램 문의 등 자세한 내용은 진북생활문화센터 전화(063-275-0186)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