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공’ 의 세력 교체

지방선거가 끝나고 시중의 관심은 온통 인수위에 쏠려 있었다. 과연 누가 참여하느냐 이와 관련해 언론도 당선자 비선을 통한 정보 수집에 열을 올렸다. 마침내 지난주 인수위 명단이 발표되면서 뒷말도 무성하다. 당선자 공직 철학과 운영 방향을 가늠하면서도 실제 이들 상당수가 공직에 참여하기에 관심이 클 수밖에 없다. 이른바 ‘어공’ (어쩌다 공무원)으로 불리는 선거캠프 출신 공직자의 계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4년 만에 이뤄지는 지방선거 권력 교체기에 당선자와 함께 힘겨운 세월을 견뎌 낸 측근들이 공직에 들어가 보좌하는 걸 말한다. 더군다나 이번 선거는 송하진 지사·김승환 교육감을 비롯해 김승수 시장 등 8개 자치단체장이 바뀜에 따라 ‘어공’의 세력 교체 바람도 클 것으로 보인다. 

어공 중에서도 눈에 띄는 건 언론인 출신이 많다는 점이다. 역대 선거에서도 기자들 공직 입문이 압도적이었다. 마케팅 홍보 트렌드에 걸맞게 자치단체와 기업 등도 이들 분야 전문가 영입에 공을 들이는 추세다. 하지만 최근엔 시민단체 출신 진출도 두드러진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인수위원 명단이 공개되면서 선거 논공행상에 대한 희비가 교차하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인수위에 들어가기 위해 당선자에 줄을 대려고 물밑 경쟁이 치열했다고 한다. 한 당선자는 각계에서 거절하기가 쉽지 않은 수십 명 인사로부터 청탁을 받고 곤혹스러웠다는 얘기도 들린다. 인수위 자체를 실세 그룹으로 인식하는 일반적 시각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진영이 다른 정권교체 경우 인수위를 ‘점령군’ 이란 표현까지 써가며 과도하게 부풀리기까지 했다.

과거 전례를 보더라도 당선자와 어공 관계는 끈끈함으로 맺어진 혈맹이다. 민선 초기 혜성처럼 등장한 유종근 지사는 외국생활을 오래한 탓인지 고향 정읍 출신 인사를 중용했다. 그 가운데 동창 김대열 씨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김완주·송하진 지사는 전주시장 시절부터 호흡을 맞춰 온 비서진 그룹을 주로 발탁했다. 김승수 정자영 이원택 송창대 씨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김관영 도지사 당선자의 인수위원을 보면 지역 대학별로 교수 안배를 한 점이 특징이다. 인수위원장 영입과 함께 핵심 보직 하마평에 고향 군산 출신들이 거론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체적으로 기자와 시민단체·교수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은 평소 소통이 잦다 보니 정무감각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취재 활동은 물론 기관 산하 위원회 등에 시민단체와 교수가 단골 멤버라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큰 틀에서 보면 지역이나 기관의 전체적 흐름이나 방향을 남보다 빨리 파악한 점이 발탁 배경이다. 항간에 떠도는 당선자와 가까울수록 권력이 커진다는 측면에서 보면 인수위 참여는 부러움의 대상이다. 설령 보직 임명과 연결되지 않더라도 당선자에게 선택받아 인수위원 역할만 해도 대단한 권력(?) 아닌가. 김영곤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