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재즈 페스티벌에게 바라는 것

황덕호 재즈 칼럼니스트

이번 주말 전주에서는 3일간의 재즈 축제, 제1회 전주 재즈 페스티벌이 열린다. 예술의 고장 전주에서 화려한 음악 한마당이 펼쳐진다니 그 기대가 크다.

1954년 미국 로드아일랜드주의 소도시 뉴포트에서 재즈 페스티벌이 시작되었을 때 이 행사는 재즈의 이미지와 재즈 시장 전반을 바꿔놓았다. 그 이전까지 재즈는 술을 취급하는 폐쇄적인 공간에서 주로 연주되는 마니아의 음악이었다. 하지만 뉴포트 재즈 페스티벌을 기획한 프로듀서 조지 웨인은 발상의 전환을 가져왔다. 기존의 클래식 음악제가 음악당에서 열리는 것과는 달리 재즈 페스티벌을 야외의 대형 특설 무대에서 개최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이 편하게 음악을 듣도록 만든 것이다. 이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매해 관중은 급격히 증가했고 뉴포트 재즈 페스티벌에서 시작된 야외 음악회의 개념은 1960년대 포크, 록, 팝 페스티벌로 계속 번져나갔다. 

국내 역시 2004년 경기도 가평군에서 개최된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재즈 축제의 붐이 일기 시작했다. 현재는 코로나의 대유행으로 그 추세가 다소 꺾인 감이 있지만 그럼에도 올해 국내에서 열릴 재즈 페스티벌의 숫자는 대략 10개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전무했던 재즈 페스티벌이 이제 여러 도시에서 열리는 정규 축제로 자리 잡은 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재즈 페스티벌 그 자체가 이룩한 대중화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최근 몇 년간 국내외의 재즈 축제를 보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음악보다는 축제에 강조점을 둠으로써 관중들의 음악에 대한 몰입도가 점차 떨어지고 있으며 당연히 재즈 페스티벌의 성과는 재즈 음악 전체로 확산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니 매너리즘에 빠진 페스티벌의 프로그램은 점차 그 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그런데 전주 재즈 페스티벌은 기존의 재즈 축제가 안고 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 이유는 전주 재즈 축제는 민간에 의한 대형 공연장 중심의 축제가 아니라 시에서 주관하는 공공의 축제라는 점이다. 그래서 전주시의 기존 공연 시설들은 물론이고 광장과 거리로 무대를 넓힘으로써 관객들을 보다 능동적으로 축제에 참여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동시에 그래야만 그 공간의 규모에 맞는 다양한 재즈의 모습이 관객에게 정확히 전달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모든 장르의 페스티벌은 동시에 문화 페스티벌이다. 그런 점에서 전주만큼 좋은 콘텐츠의 도시는 없다. 전주의 풍성한 음식문화와 재즈가 결합한다면 재즈의 본고향인 미국의 뉴올리언스에서 재즈와 그곳의 케이준 푸드가 함께 어우러지는 개성 있는 풍경을 우리도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한 문화의 융합 속에서 한국의 재즈 음악인들이 늘 고민하던 ‘우리만의 색깔을 지닌 재즈’도 더욱 풍성한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행정의 일관되고 꾸준한 뒷받침 없이는 공허한 희망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것은 시민과 관객의 애정과 관심에 달려있다. 부디 전주 재즈 페스티벌이 꾸준히, 매해 거듭되길 바란다. 이번 주말은 전주에서 재즈를 즐기자.  

/황덕호 재즈 칼럼니스트

 

저자소개

재즈 칼럼니스트. 1999년부터 현재까지 KBS 클래식 FM(93.1Mhz)에서 '재즈수첩'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희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재즈사와 대중음악사를 강의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황덕호의 재즈로프트’를 운영중이다. '다락방 재즈', '그 남자의 재즈일기', '당신의 첫 번째 재즈음반 12장: 악기와 편성', '당신의 두 번째 재즈음반 12장: 보컬'을 썼으며 '그러나 아름다운'(제프 다이어), '루이 암스트롱'(게리 기딘스), '재즈선언'(윈턴 마설리스), '재즈, 평범한 사람들의 비범한 음악'(에릭 홉스봄), '재즈: 기원에서 오늘날까지'(게리 기딘스, 스콧 드보), '빌 에반스: 재즈의 초상'(피터 페팅거)을 우리 글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