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제주 항공 하루 8차례 운항 계속 유지를

이달 중순부터 하루 2편, 4차례로 운항 감축에 들어가려던 군산~제주 항공 노선이 정운천 의원의 적극적인 건의로 이달 말까지는 예전대로 하루 4편, 8차례 운항이 유지된다. 하지만 다음 달 이후에는 운항 편수가 불투명한 상태여서 도민 불편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하루 4편, 8차례 운항이 지속돼야 한다.

그동안 공항이 없어 항공 오지로 전락한 전북은 1970년 군산 미군비행장을 통해 군산과 서울을 오가는 데 활용하다 오일 쇼크로 중단됐다. 이후 2008년부터 대한항공이 군산~제주를 하루 한 번 왕복해왔고 2009년 전북을 연고로 하는 이스타항공이 세워지면서 군산~제주 항공 노선이 하루 3편, 6차례로 확대돼 전북도민의 항공 편익 증진에 기여해왔다. 지난 2020년 10월부터는 저가항공인 진에어와 제주항공이 하루 4편, 8차례씩 운항하면서 항공 수요가 많이 늘어났다. 코로나 시국임에도 지난해 군산공항 이용객 수는 28만여 명에 달했다. 지난 5월 한 달간 군산공항을 이용한 탑승객 수도 4만3000명에 이르렀다. 군산공항 전성기 때는 연간 이용객이 48만 명에 달할 정도로 호황을 누리기도 했다.  

이처럼 군산공항이 활기를 되찾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항공업 복귀를 앞둔 이스타항공의 제주노선 슬롯 반환 요구에 따라 진에어와 제주항공의 군산~제주 운항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 것. 그러나 코로나 거리두기 완화로 군산~제주 항공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운항 편수가 절반으로 줄어들면 전북도민의 항공 불편은 불 보듯 뻔하다. 가까운 군산공항을 두고 광주나 청주공항 등을 이용해야 함에 따라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클 수밖에 없다. 여기에 군산~제주 항공 운항 편수 감축에 따른 지역경제에 악영향도 우려된다.

따라서 이달 중순에 예정된 국토교통부 심의 때 군산~제주 운항 고정 슬롯을 배치해 현재대로 하루 4편, 8차례 왕복 운항하는 방안을 유지해야 마땅하다. 윤석열 정부도 지역균형발전을 표방하고 국정과제로 채택한 만큼 전북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전향적인 결단이 요구된다. 민선 8기를 맞은 전북도와 여야 정치권도 도민 항공 이용 편익 증진을 위해 군산~제주 운항 편수 유지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