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당대회 앞두고 '룰의 전쟁' 본격화.. 안규백 사퇴 초강수

어대명 분위기 속 최고위원까지 친이재명계 장악 시나리오 경계
분당만은 안 된다는 분위기지만, 룰 둘러싼 내부 갈등 점차 심화
전준위 합의 내용, 비대위가 뒤집어.. 친명계·다른계파 모두 반발
전북도당위원장이나 사고지역위원장 선출과정 영향 '예의주시'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29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비공개 전준위 회의에 참석하기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를 한 달 여 앞둔 가운데 당권 장악을 둘러싼 룰의 전쟁이 본격화됐다. 민주당 당내 구도가 어떻게 짜여지느냐에 따라 전북정치의 전망이 달라지는 만큼 지역 정가의 관심 역시 8월 전대에 쏠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전대는 특히 다음 총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당내 헤게모니 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5일 전당대회 룰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 내부 갈등이 점차 심화됐다. 안규백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위원장이 비상대책위원회의 '룰 뒤집기'를 비판하며 5일 전격 사퇴했고,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도 "당내 기득권 지키기"라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더불어민주당 친이재명계 의원들이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전대 룰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성호·정청래·박주민·김병욱·양이원영·김남국·김용민·장경태 의원. 연합뉴스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중앙위원급 위원만으로 예비경선을 치르면 당내 기득권 세력의 의지가 담긴 후보들만을 투표에 부치게 되는 문제를 지속하게 된다"며 "이런 결정은 당내 기득권 지키기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않겠다는 선언"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비판은 이재명 의원에게 불리하다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대위는 전날(4일) 예비경선 선거인단의 30%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하기로 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의 결정을 현행대로 '중앙위원회 100%' 비중 유지로 번복했다. 

또 비대위 논의 과정에서 최고위원 선거의 '1인 2표' 가운데 1표는 투표자가 속한 권역의 후보에게 행사하도록 하겠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논란이 일자 우상호 비대위원장도 즉각 해명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오전 광주 북구 전남대학교 대학본부에서 광주 지역 대학 총장단 협의회 간담회를 마치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 위원장은 이날 광주 ‘국가균형발전과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당·정·학 간담회’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나 “전준위 결정 내용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토론했다”며 “다만 컷오프 과정에서 중앙 위주로 하는 게 좋겠다고 결론을 내린 이유는 후보가 10명이 넘는 경우 여론조사 컷오프가 어떤 변별력을 갖고, 일반 국민들이 어떻게 판단할 수 있겠냐는 우려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퇴의사를 밝힌 안규백 전준위원장과는 다시 대화를 시도해보겠다”고도 했다.

비대위가 정한 전대 룰의 핵심 쟁점인 최고위원 선거 권역별 투표제에 대해선 “지난 수년간 호남·충청·영남 출신 의원들이 최고위원으로 지도부에 입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결정한 것”이라며 “계속 수도권 정당으로 전락하고 있는데, 다음 총선을 앞두고 전국적 여론을 청취해야 할 지도부에 호남·충청·영남 출신 의원들이 진입하지 못하면 심각한 상황이 초래되지 않겠냐는 우려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실제 민주당에서 전북 등 호남지역 최고위원 배출은 정동영, 정세균 이후로 선출된 최고위원을 찾기 어려웠다. 

다만 전당대회 룰이 어떻게 세워지더라도 이번 21대 국회 후반기 민주당 최고위원에 나설 전북 국회의원은 없을 전망이다.

한편 민주당 전대준비 갈지자 행보에 전북도당위원장이나 사고지역위원장 선출과정에도 영향이 있을지 지역정치권에서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