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육지원청 매각이 철회되고 새로 리모델링 하는 것으로 선회됐다. 혁신학교 역시 전북형 미래학교로 변화되는 등 사실상 전임자인 ‘김승환 흔적 지우기’가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
제19대 전북교육감직 인수위원회는 7일 전북교육청 브리핑룸에서 인수위원회 중간보고회 및 질의 응답 시간을 가졌다.
인수위는 먼저 그간의 고착화된 틀을 깨고 새로운 관점에서 미래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교육비전과 10대 핵심정책을 발표했다. 전주 에코시티로 이전하는 전라중학교 부지에는 미래교육캠퍼스와 학생교육지원시설, 청소년복합문화공간을 신축하기로 했다. 당초 김승환 전 교육감은 교육부 중투위 심사를 거쳐 전주교육지원청을 매각하고 그 금액으로 전라중 부지에 전주교육지원청을 신설하려고 했었다. 기존의 김 전 교육감 정책을 뒤짚은 것으로 인수위는 내년 3월 열릴 중투위에서 새로운 변경안을 승인받겠다는 계획이다.
전임 김 교육감이 치적으로 내세운 혁신학교 정책과 관련해서도 미묘한 시각차를 보였다. 인수위는 혁신학교를 폐지하지 않고 서 교육감의 공약에 따라 새로 추진되는 미래학교의 한 유형으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지정된 혁신학교를 전북형 미래학교의 한 유형으로 지속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사학기관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현 교육청 내 분산된 사학 관련 업무를 일원화 시킨다는 방침이다. 과별로 분산 배치된 업무를 통합시키겠다는 의지다. 인사 문제 역시 조직을 슬림화하는 방안을 강구, 남는 인력을 일선 교육지원청이나 학교에 배분한다는 계획이다. 전교생 10명 미만의 작은 학교의 경우 학생의 사회성 고려 등의 문제를 위해 학생, 학부모, 주민 등이 참여하는 공론화위원회를 결성해 통폐합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각오다.
게다가 생애주기별 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해 전북 에듀페이 지원방안을 검토, 입학준비금부터 학습지원비, 진로지원비, 체험학습지원비 등 입학때부터 졸업할 때까지 학생 1인당 375만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안도 수립했다.
인수위의 10대 핵심정책은 △수업혁신과 미래교육환경 구축으로 교실혁명 실현 △전북형 미래학교 운영 △기초학력 시스템 구축 △학생 맞춤형 진로진학 교육 △지자체와 교육협력공공회이 체계 구축 △학생의회 설립 △공사립 차별없는 지원 △특수학교 신설 및 학급 증설 △전북교육인권센터 설치 △글로벌 학생 해외연수 실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