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지사 "전북 금융중심지, 금융기관 이전 등 대통령 결단 필요"

첫 추경예산안에 금융산업 발전전략 수립 용역비 3억 반영
"균형발전 차원 금융기관 이전, 중앙지방협력회의서 건의"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7일 제3금융중심지 지정과 관련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전북도 제공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해서는 전북국제금융센터를 완공하고 그곳에 관련 금융기관을 유치하는 등 전북도 자체적인 여건 조성이 중요하다. 금융기관이 이전해야 금융중심지 지정도 탄력을 받기 때문에, 이 부분은 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역균형발전 차원의 금융기관 지방 이전을 대통령과 시·도지사들이 참여하는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건의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7일 민선 8기 첫 추경예산안 기자회견에서 제3금융중심지 지정 전략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번 추경에는 '금융산업 발전전략 수립' 용역 명목으로 예산 3억 원이 편성됐다. 앞선 도정에서도 '전북 특화금융산업 발전방안' 용역 등이 진행된 바 있다.

이전 용역과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김 지사는 "제3금융중심지 지정과 관련해서는 그동안 전북이 추진해온 여러 대책이 있지만, 금융중심지로 지정받기에는 상당히 부족했다는 것이 그동안의 평가다. 그래서 금융위원회에서도 인프라 보완 얘기가 나온 것 아닌가 생각한다"며 "전북이 실현 가능하고 먼저 할 수 있는 것들, 예를 들면 전북국제금융센터를 짓고 관련 금융기관을 유치하는 것 같은 여건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북이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며, 제3금융중심지 지정에 필요한 여러 여건들을 지속적으로 금융위와 협의하며 조성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지사는 이러한 내부 여건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외부 여건이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이 공약한 제3금융중심지도 금융기관이 이전돼야 탄력을 받기 때문에, 이 부분은 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적어도 자산운용기관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있는 전북으로 이전해달라는 내용을 대통령과 시·도지사들이 함께하는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건의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 김 지사는 대기업 유치 전략과 관련해 "수도권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전 시 관련 업종이 있는 곳, 인력이 공급되는 곳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며 "치밀한 전략을 세워 타깃 기업을 선정하고 전북의 산업적 비교우위를 토대로 홍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조직 개편 등 도정 운영과 관련해서는 "공무원들이 각자 가진 자질과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는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은 저의 중요한 책무"라며 "변화와 혁신의 과정에는 고통과 불편이 따른다. 그것이 더 나은 도정을 위한 과정이기 때문에 다른 의견들을 충분히 수렴, 설득하면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