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 9일 전라북도립국악원 창극단 제55회 정기공연 <청, 꽃이 되다>, 전주시립예술단 창작 음악극 <엄마> 공연이 펼쳐졌다. 두 공연 모두 출연진의 노력이 돋보였다. 오랜만의 공연 나들이에 반가운 듯 많은 준비를 해서 나온 출연진에 관객들도 박수와 환호를 아끼지 않았다.
△ 창극 <청, 꽃이 되다>
우리가 흔히 아는 동초제 심청가, 심청전의 이야기. 연출가 최교익이 각색하고, 조영자 창극단장이 작창했다.
심청, 심봉사에게 집중된 이야기를 각색해 곽씨부인을 조명하고, 한 가족의 모습까지 만들었다. 심청이 태어나기 전의 심봉사와 곽씨부인의 사랑 이야기는 없었다면 아쉬울 정도다. 실감 나는 조명 연출을 통해 임당수를 표현하고, 웅장한 궁궐을 표현해 눈길을 끌었다.
후반부로 갈수록 개선해야 할 점이 하나둘 보이기 시작했다. 창극단의 정기공연이기에 누구보다 ‘창극단’이 더 돋보였어야 했는데, 무용단, 관현악단의 색이 진했다. 앞으로 전라북도립국악원이 풀어가야 할 숙제다.
△ 창작 음악극 <엄마>
전주시립합창단, 전주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극단, 전주시립국악단의 연합공연인 창작 음악극 <엄마>. 올해는 실험적으로 우리들의 ‘엄마’의 이야기를 다뤘다. 복이와 우진의 딸 순희, 순희와 선규의 아들 기하, 기하와 여자친구 지영의 이야기다.
험난한 시절을 보낸 우리들의 엄마, 그들의 그리움과 아픔의 이야기를 좋은 연기와 음악으로 선보였다.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있었다. 배우들의 어색한 연기는 보완이 요구된다. ‘엄마’의 삶에 집중되기보다는 ‘아빠’를 그리워하는 가족의 이야기의 비중이 더 컸다. 시대 상황으로 남편과 이별하고 혼자 자식을 키운 엄마의 삶이 집중됐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쉬움이 큰 공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