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18일 세종 집무실 설치 수정 추진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공약 파기라는 말은 너무 과하고, 공약 재조정 정도가 어떨까 싶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예산 때문에 세종 집무실 설치가 어렵다는 부분에 대해 공약 파기라는 지적이 있다’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쓸 수 있는 임시 집무실이 있는 상황에서 새로 집무실을 마련하는 방법을 고민해 봤는데, 굉장히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금처럼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국민 세금을 쓰기보다는 그것은 좀 미루고, 대통령이 지금 쓰실 수 있는 집무실을 그대로 쓰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지역에 가서 자주 회의를 하는 방식으로, 그 지역에 대해 갖고 있는 대통령의 관심을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올해 완공되는 정부 세종청사 중앙동에 제2집무실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지난 2012년부터 운영된 청사 1동의 기존 집무실을 우선 활용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전날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나라 살림이 어려운데 예산을 들여 새로 짓고 배치하는 것보다는 지금 설치돼 있는 세종집무실을 내실 있게 활용하는 것이 공약을 이행하는 가장 실질적인 방법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또 “새로 건물을 신축하면서 지금 있는 것보다 훨씬 규모도 크고 참모들도 근무할 수 있는 집무실을 설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역사회 요청이 있는 것을 안다”고 덧붙였다.
이에 세종시 시민연대는 18일 성명을 내고 “국민을 상대로 한 명백한 거짓말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강력 반발했다.
이들은 “대통령 용산 집무실 설치는 대통령 공약도 아니었고 공론화와 국민적 공감대 형성 없이 강행한 반면, 세종 집무실은 대통령 공약 사항으로 지난 4월 인수위가 3단계 로드맵까지 발표하고도 예산 때문에 약속을 이행하지 않기로 한 것은 전형적인 이중잣대이고 정치적 궤변의 극치”라고 주장했다.
또 “약속 불이행과 결정 번복에 대해 최소한의 사과와 반성이 선행돼야 하는 데도 공약은 형식이 아닌 실질적으로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궤변을 늘어놓는 대통령실의 무책임하고 몰염치한 모습에서는 깊은 실망과 분노를 느낀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