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 지도부 개편에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전북정치의 종속변수화가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북정치에 사실상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은 이달 28일 전당대회를 통해 지도부를 선출한다. 지금까지의 전망으로는 이재명 후보와 그를 지지하는 친이재명계가 대세를 이루는 상황으로 전북 국회의원 중 적지 않은 인사가 대세론에 편승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설사 전북 국회의원이 비이재명계와 비슷한 철학이나 입장을 가졌다 하더라도 다음 공천을 염려해 이러한 의사를 표출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전당대회가 종료되면 전북정치권은 새로운 당 대표를 중심으로 줄서기에 들어갈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정치권은 대체로 당에 강력하게 전북 몫을 주장하기보단 2년 뒤 총선에서 공천권을 얻기 위한 전략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회의원들의 행보도 대형 공약이나 사업, 법안 통과보다 상임위를 통한 지역구 민원 관리, 지역구나 상임위 관련 행사 참여에 집중되는 추세다.
전북에는 총 15만 8476만 명의 민주당 전당대회 선거인단이 있지만, 전북은 주도적으로 당에 변화를 일으키기보단 전국적 바람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현재 상황에서 당 주류와 다른 목소리를 낼 경우 ‘계란으로 바위치기’에 그친다는 인식도 팽배해 있는 상황이다. 실제 전북 국회의원들과 도내 선거인단 일부는 1인 2표인 최고위원 투표에서 2표 모두 전북 또는 호남출신 후보가 아닌 친이재명계 후보에 던질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보통 1명이 2표를 행사할 수 있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1표는 자신의 계파에 1표는 지역 현안을 위해 연고에 따라 찍는 게 일종의 관례였지만, 이러한 법칙이 최근 깨지고 있는 셈이다.
이는 민주당 내부에서 전북은 물론 호남정치의 비중이 작아졌음을 의미한다. 실제 이번 전당대회에서 유일한 비수도권 지역구 의원으로 출마한 송갑석 의원(광주 서구갑)은 호남의 선택만 받아도 당선권에 근접할 수 있지만, 최근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에 출마했던 한병도 의원(익산을)도 전북을 비롯한 호남 표가 분산되면서 아쉽게 그 기회를 놓친 바 있다.
결국 전북정치는 정당정치에서 독립변수가 아닌 종속변수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치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전북은 일당독주 정치구도에서 많은 민주당 권리당원과 대의원이 활동하고 있지만, 지역성에 기반한 투표 성향은 점차 옅어지고 있다. 지역보다 자신의 개인적 신념이나 선호에 맞춘 투표가 이뤄지는 게 보편화 됐다는 의미다.
사상 처음으로 보수정당 국회의원 두 명이 활동하면서 전북 현안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됐던 국민의힘 상황은 더 녹록지 않다.
서진정책에 힘을 싣던 이준석 대표는 국민의힘이 비대위로 전환되면서 자리를 상실했고, 비대위 전환 역시 대통령의 최측근 그룹으로 불리는 윤핵관이 주도했다.
반면 여론은 이준석 대표의 가처분 신청과 유승민, 이준석 당 대표 선임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형국이다. 급기야 '친이준석' 당원 1558명도 가처분 신청에 동참했는데 이 결과에 따라 여당발 정계개편 가능성이 불거질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양당의 지도부 개편이 완료되면 전북정치의 향방은 지금보다도 중앙정치권의 바람에 따라 그 전망이 급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