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저탄소 농업구조'를 만들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권요안 전북도의원(농산업경제위·완주2)은 지난 19일 전북도의회 정책토론회에서 전북의 탄소중립과 녹색전환 사회 실현을 위한 농식품 분야의 실천방안을 제안했다.
권 의원은 가장 먼저 ‘고 투입’ 관행농업에서 ‘정밀농업’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기술을 농업에 적용, 관행농법 대비 각종 농자재 투입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정밀농업을 통해 저탄소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연구할 ‘농업농촌 탄소중립연구센터’ 설립을 제안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로컬푸드를 확대하자는 의견도 제시했다. 권 의원은 “우리나라는 1인당 식품 수입량이 많다. 수입 거리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농식품 유통거리 단축을 위한 로컬푸드 직매장 설치와 지역농산물 취급 확대 방안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푸드플랜 활성화를 통해 지역 내 '생산-소비' 연계 강화와 농산물 규격화, 표준화, 물류시스템 구축 등 온라인 농산물 거래 플랫폼 구축 등의 대응도 언급했다.
아울러 권 의원은 또 다른 탄소중립 수단으로 ‘산림’을 주목했다. 그는 “숲이 탄소 흡수는 물론 탄소를 장기간 저장·격리하고 기후변화 영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면서 “숲가꾸기, 도시숲 조성 등의 사업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공·사유림에 대한 체계적 산림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요안 의원은 “민선 8기 도정목표에 기후예산 항목이나 탄소인지 예산제가 누락돼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미흡해 보인다”며 “전북도의 탄소중립 기본계획과 생태문명 종합계획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전북도의회와 녹색전환연구소, 전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