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수소특화국가산단 유치 성공할까

강원, 경북 등 타지역도 유치 의지 강해...

유희태 완주군수가 취임 후 '두 번째 거사'가 된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 유치전에서 승전고를 올릴 수 있을까.

유 군수 취임 후 터진 글로벌 유통기업 쿠팡의 완주테크노밸리제2일반산단 유치 무산 위기는 민선 8기 초반에 터진 갑작스러운 상황으로 치부할 수 있겠지만, 수소특화 국가산단 유치는 유 군수 정치 역량이 개입되는 첫 시험대로 평가될 수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완주군은 지난 19일 군청 4층 전략회의실에서 학계와 연구기관, 산업계 등 각계 수소 전문가들로 구성된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유희태 군수가 참석한 이날 회의는 연말로 다가온 정부의 수소특화 국가산단 최종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향후 정책방향과 최종 후보지 제안서 작성을 위한 자문 등을 위해 마련됐다.

수소자문단회의에서 유희태 군수가 수소특화국가산단 유치에 대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사진=완주군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 자리에서 “수소 시범도시인 완주군은 그동안 다양한 인프라 구축에 힘써 왔고, 그 결실을 맺기 위해 수소특화 국가산단 선정에 도전하게 됐다”며 “이번 국가산단 선정을 위해 행정 내에 TF사업단 구성을 완료했다. 자문단 회의를 통해 효율적으로 대응해 반드시 소기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

궁극의 친환경 에너지로 평가되는 수소를 핵심으로 삼는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 유치를  위해 완주군은 그동안 심혈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9년 국토교통부의 수소산업 시범도시에 선정됐다.  전국 최대 규모의 수소충전소를 선제적으로 설치했고,  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와 수소저장용기 신뢰성 평가센터 구축 등 수소경제 핵심 인프라 유치에도 잇따라 성공했다.

전라북도와 완주군은 지난 2021년 5월 한국가스안전공사와 수소용품검사지원센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에 있는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은 수소상용차를 생산해 유럽 시장에 수출하고 있고, 일진 등 수소 관련 기업과 연구소 등이 입지해 있다. 완주군은 수소산업 전후방연방 체제를 제대로 갖춘 셈이다. 

완주군 관계자는 "기업과 연구기관, 각종 지원시설이 운집해 있어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의 최적지로 손색이 없다고 자부하다"며 유치전에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세부 계획도 착착 진행해 왔다. 완주군은 봉동읍 테크노밸리 산업단지 남단에 계획한 수소산단 부지 165만㎡에 6270억원(국비 5990억 원, 지방비 145억 원, 민자 135억 원)을 들여 2026년까지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를 조성, 완주군 산업날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165만㎡ 규모 수소산단에 수소 전문기업 30개 이상을 유치하고, 중앙집중식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 시설을 가동한다. 입주기업에 전기는 물론 열과 스팀도 공급하는 등 친환경에너지 인프라를 구축, 명실상부한 친환경 산단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적어도 100년 먹거리 산업으로 평가되는 미래핵심산업 수소 선점을 위해 강원, 경북 등 다른 지역의 도전도 만만찮은 것이 현실이다.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 힘과 민주당 모두 완주지역 수소산업에 큰 관심을 갖고 대선공약으로 내놓은 것은 긍정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지만, 결국 지역 단체장과 정치권이 중앙 무대에서 얼마나 역할을 해 주느냐가 관건인 것이 현실이다.

유희태 군수가 공식 제안서를 얼마나 빈틈없이 작성하고, 전북도는 물론 국민의 힘과 민주당 등 정치권의 지원을 얼마나 확실하게 이끌어내느냐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한편,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은 국토연구원이 각 시·도에서 받은 공식 제안서를 서면평가와 현장실사 종합평가 등 엄격한 평가를 한 후 국토부에 그 결과를 제출하고, 국토부는 연말에 최종 후보지를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