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의회(의장 김영일)는 시가 추진 중인 중앙동(영동 상가) 2구역 도시재생사업 용역(구상안)에 대해 ‘부실 용역’이라고 지적하고 나섰다.
도시재생사업의 목적은 활력 잃은 도심 생태계를 복구하는 것이 핵심이지만 약 4억 원을 들여 실시한 용역이 이벤트성에 그치고 있으며, 단위 사업을 통해서는 영동 상가의 명성을 되찾는 등 목적 달성이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22일 열린 시의회 간담회에서 시는 중앙동 일대, 특히 영동 상가에 대한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지역 특화형)을 통해 침체한 상권 활성화 방안, 쇠퇴 방지와 해결 대안 용역 결과(구상 안)를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군산시의회 경제건설위원회는 용역 내용은 그럴싸하지만,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계획이 없다고 지적했다.
시의원들은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문화시설 등 여러 가지 콘텐츠가 존재해야 한다며 용역 효과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공모사업 당선을 위한 도시재생 결과물은 예산 낭비에 그칠 뿐이며, 공모사업에 참여하는 용역사들은 지역 실정과 맞지 않는 용역 결과를 도출해서는 안 된다는 게 시의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영동 상가 활성화 차원에서 지속된 용역과 재생 사업 등 막대한 예산을 들였음에도 상권 활성화는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실제 시는 2009년 영동 상가를 활성화하겠다며 ‘20억 이상을 들여 영동로 중앙 300m 구간에 ‘미디어 폴’과 ‘수로’를 만들었지만 제 기능을 못해 철거했으며, 경관용 보도블록도 여성들의 하이힐 문제로 철거한 바 있다.
군산시의회 경제건설위원들은 “군산지역 상권 흐름을 보면 영동상권에 이어 나운·수송상권까지 붕괴되는 추세다”면서 “상권 활성화를 위해 땜질식 계획, 일시적 이벤트 성이 아닌 지역민에 게 실질적 도움이 되고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명확히 설정하고 추진해야 한다. 발표만 그럴싸하고 내용이 없어서는 안된다”고 입을 모았다.
설경민 시의원은 “도시재생은 수요가 발생하고 소비 인구가 증가했을 때 자연적으로 재생된다”면서 “인위적인 재생사업은 한계가 있음에 따라 오롯이 국비 확보만을 위한 도시재생 공모는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군산=문정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