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정연수센터를 유치해 놓고 교육은 타 지역에서 받는다?
전북에 유치한 지방의정연수센터가 전북도의회 소속 광역의원들의 이용실적이 한 건도 없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지방의원 전문연수기관이 완주 혁신도시 내에 설립되고도 정작 광역의원들이 타 지역에서 교육일정을 소화해 빈축을 사고 있다.
전국 지방의원과 의회사무처 공무원 연수시설인 지방의정연수센터는 제10대·11대 전북도의회가 적극 앞장서서 노력한 끝에 지난 2월 완주 혁신도시내에 있는 지방자치인재개발원에 설치해 운영 중이다.
이에 따라 지난 7월 1일 출범한 전북도의회를 비롯한 전국 지방의회가 이 곳에서 전문적인 연수를 받게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유치 이후 지방의정연수센터에서 교육을 받은 전북 광역의원들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전북도의회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도의회 농산업경제위원회, 문화건설안전위원회, 교육위원회 등 3개 상임위원회 소속 도의원 11명이 2박 3일 일정으로 제주도로 연수를 떠났다. 하지만 예산 및 행정사무감사 기법을 함양하기 위한 취지로 진행된 특별세미나 교육일정은 관광성 외유에 구성되었다는 지적이다. 이번 연수에는 1인당 80만원씩, 모두 천만원에 가까운 세금이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지방의회는 주로 국회의정연수원과 지방자치인재개발원에서 교육을 받았지만 이번에 지방의정연수센터가 신설되면서 전북으로서는 기대가 컸다. 3640여명에 달하는 전국 지방의원과 7000여명의 의회 사무직원이 의정 역량 강화를 위해 전북을 찾아오면 이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측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방의정연수센터가 문을 연지 6개월이 지나 대면과 비대면 연수생이 2000명을 넘어섰지만 전북도의회 이용실적은 전무하다. 연수센터는 지난 2월부터 지방의회 직무 기본과정 및 지방의회 상임위 전문과정을 개설해 운영중 이다.
다만, 전주시의회와 완주군의회 등은 지방의정연수센터에 프로그램 개설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의정연수센터 관계자는 "도내 지방의회 중 전주시의회와 완주군의회 등은 프로그램 개설을 요청했지만 전북도의회에서 교육을 해달라는 요청은 없었다"며 언론을 통해 밝혔다.
이에 대해 국주영은 전북도의장은 지난 26일 기자실을 찾아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관광지를 포함한 연수를 없애고 지역안에서 추진하겠다"며 "도의회가 직접 유치한 행안부 소속 지방의정연수센터 활성화를 위해 연수와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런 가운데 지방의정연수센터는 지방의원들의 성공적 의정활동에 필요한 정책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2022년 '지방의회 아카데미'를 운영할 계획이다. 전북을 비롯해 광주,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전남도의회를 대상으로 모집인원 200명을 선발해 9월 29일 교육을 실시한다. 이는 전체 대상자 1138명이지만 코로나 19 감염 재확산 방지를 위해 권역별 수강인원을 제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