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7일은 ‘양성평등주간’이다. 사실 양성평등주간은 ‘여성주간’에서 시작됐다.1995년 제정된 여성발전기본법이 2014년 양성평등기본법으로 전면 개정돼 이듬해부터 시행되면서 기존 여성주간도 양성평등주간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정부의 성평등 정책을 놓고 남성 역차별 논란도 있지만 우리 사회에서 양성평등의 문제는 여전히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및 권익증진에 초점이 맞춰진다. 그리고 아직도 우리 사회 유리천장은 사라지지 않았고, 성평등 의식도 부족하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내놓은 지역 성평등지수(2020년 기준)를 보면 전북은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권에 속한다. 여성의 사회참여와 인권·복지, 그리고 성평등 의식·문화 부문에서 취약했다. 특히 지방의원과 5급이상 공무원, 지자체 위원회 위촉 위원의 여성 비율 등을 평가하는 의사결정 분야에서 대부분 하위권을 기록했다. 지역사회 유리천장이 다른 지역보다 더 단단한 셈이다.
양성평등기본법에서는 국가뿐 아니라 지자체에 대해서도 양성평등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책무를 부여하고 있다.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와 이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 전북도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심각한 인구위기를 부른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도 양성평등 실현을 통한 일·가정 양립 조직문화 확산이 요구된다. 젊은 여성들에게는 직장을 갖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시대다. 기존 양육·일자리 환경의 패러다임을 바꾸지 않으면 저출산 정책을 성공시키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민선 8기 전북도를 비롯한 도내 지자체의 최대 현안은 역시 지역소멸을 부르는 인구위기 극복이다. 각 지자체에서 성평등 전담부서를 신설해 저출산 극복 정책을 발굴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전북도가 지난 1일 여성계를 포함한 지역사회 인사들을 대거 초청해 2022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를 열고, 양성평등 실현 의지를 천명했다. 전주시 등 도내 14개 시·군에서도 다채로운 행사를 열 계획이다. 보여주기식의 형식적 행사에 그쳐서는 안 된다. 우선 지역사회에 아직도 견고한 유리천장을 깨는 데 지자체가 앞장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