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간 짧아 마늘·양파 뒷그루로 딱 좋은 벼 ‘조영’

농진청, 밥맛 좋고 병·쓰러짐 강해… 2023년 보급종으로 공급

‘조영’ 재배지 사진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13일 마늘, 양파의 뒷그루로 재배할 수 있는 벼 품종으로 단기성 벼 신품종 ‘조영’을 추천했다. 

단기성 벼는 소득작물 뒷그루에 재배하는 벼로서 6월 이후 늦심기 재배에도 생육기간이 110일 미만으로 짧아 정상적으로 쌀을 수확할 수 있으면서 이후 소득작물(마늘양파)을 안정적으로 파종을 가능하게 하는 벼 품종을 아울러 이르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단기성 벼 품종으로는 ‘조평’, ‘금오’, ‘해담쌀’이 대표적이다. 이번에 개발한 ‘조영’은 기존 품종보다 천알무게(천립중)가 무겁고 이삭패는 시기가 1~4일 빠르며 밥을 지었을 때 찰기가 돈다.

특히 재배기간이 짧아 양파보다 일찍 심어 월동하는 마늘과도 원활하게 이어짓기를 할 수 있다. 

마늘이나 양파를 재배한 후에는 논에 질소질 비료가 남아 있어 뒷그루로 벼를 심었을 때 쓰러짐과 병해충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 ‘조영’의 줄기길이(76cm)는 ‘금오’(81cm)보다 짧아 쓰러짐에 강하고 도열병이나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조영’은 짧은 재배기간이라는 이점과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아 기존 보급종인 ‘조평’을 대체하는 품종으로 선정됐다. 올해 국립종자원 경남지원에서 보급종 종자 증식과정을 거쳐 2023년 100톤이 공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