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회 제395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

이국 “메가시티 대응 전주, 김제, 완주 특별연합 구성 제안”
전윤미 “내년 중단 우려 ‘착한임대인 운동’ 지속적인 추진 촉구”
최서연 “떠나는 청년 붙잡을 전주시의 적극적 노력 필요”
신유정 “청년예술인 원활한 예술 활동 지원 필요”
이보순 “전기차 충전시설 화재 안전장치 마련 촉구”
정섬길 “전주시 합리적인 공영주차장 운영과 주차환경 개선”
김학송 “바을버스 ‘바로온’ 확대 개선 촉구”
최명철 “전주시 인권담당 부서 독립성 보장하라”

14일 열린 제12대 전주시의회 제395회(제1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전주시 현안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이국 전주시의원

이국  의원(덕진, 팔복, 송천2동)

이국 의원은 전주시와 완주군, 김제시를 더해 가칭 전주김제완주 특별연합 구성을 제안했다. 부울경, 충청권 등 곳곳에서 발전전략으로 메가시티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전북은 소외된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이 의원은 "지난 4월 부산울산경남특별연합 출범과 마찬가지로, 같은 생활권인 전주김제완주 3개 시군이 먼저 특별연합을 구성해 공통의 문제를 풀고, 이후 완전한 통합을 추진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전윤미 전주시의원

전윤미 의원(효자2·3·4동)

전윤미 의원은 "소상공인의 경영난이 가중되는 현재, 단비와도 같았던 '착한 임대인 운동'이 내년에는 중단될 예정이라는 소식에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착한임대인 운동의 출발점인 전주시만큼은 조금이라도 더 지속해야 할 책임감과 사명감이 있다"면서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적인 보완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최서연 전주시의원

최서연 의원(진북동,인후1·2동,금암1·2동)

최서연 의원은 "전주를 떠나려하는 청년을 붙잡기 위한 전주시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단순히 일자리를 늘리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미래를 꿈꾸고 삶의 터전이 될 수 있는 '업'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종합적인 지역인재육성 플랜 신설과 조직문화 점검 개선을 제안했다.

 

 

 

 

 

신유정 전주시의원

신유정 의원(조촌동,여의동,혁신동)

신유정 의원은 "청년예술인들이 지역에서 창작활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전주시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더 많은 발표 기회 보장과 관내 공연장 및 전시장 전수조사, 청년 예술인 홍보 대책 마련, 창작공간 및 전시공간 확장 확보 등을 제안했다.

 

 

 

 

 

이보순 전주시의원

이보순 의원(비례대표)

이보순 의원은 전기차 충전시설의 화재 안전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안심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충전시설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해 충전시설 설치 및 관리에 대한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세부지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섬길 전주시의원

정섬길 의원(서신동)

정섬길 의원은 전주시의 합리적인 공영주차장 운영과 주차환경 개선을 건의했다. 주차 공정성 확립과 성숙한 시민 의식 홍보를 강화하고, 단속기준이 모호한 분산도로 및 이면도로에 대한 단속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차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더해 공영주차장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 전면 유료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학송 전주시의원

김학송 의원(조촌동,여의동,혁신동)

김학송 의원은 대중교통 취약지역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도입된 전주시 마을버스 '바로온'의 확대,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대대적 증차를 통한 확대 운행과 전면 무료화를 제안한다"면서 "바로온이 단순한 대중교통이 아닌 전주시민에 대한 배려이자 생산적 투자로 인식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명철 전주시의원

최명철 의원(서신동)

최명철 의원은 "이번 전주시 조직개편안과 관련해 인권담당 부서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시장 직속 인권담당관실이 기획조정국 인권법무과로 개편될 예정으로, 인권 행정의 독립성과 전문성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그는 "특정 부서 산하 인권부서로 이관되면 인권 행정 역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밖에 없다"면서 "조례에 맞도록 독립성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