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1일, 전북교육청은 서울시교육청과 농촌유학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서울의 학생들이 우리 도의 농촌으로 유학을 옴으로써 그들에게는 생태 친화적 교육 여건을 제공하고 우리에게는 학생 수 부족의 여건을 개선해 줌으로써 공히 교육력 제고를 실현하겠다는 취지에서이다.
주거시설은 지자체가 협력하고 경비의 상당 수준을 우리 교육청이 감당하므로 그 소요예산이 만만치 않다. 게다가 사용해 오던 교육 시설을 유학손님 최적화로 변경하고 손님맞이를 위한 분주한 준비는 전적으로 우리의 몫이다. 예산, 분주함, 공사 등을 감수하고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와 상생의 결실이 취지만큼이나 만족스럽다면 이는 당연히 감당해야 할 터이기도 하다.
하지만, 서울시의 농촌유학이 있다면 우리에게는 서울유학이 구체적으로 계획되어 있는지도 궁금하다. 인구소멸로 침체된 우리의 교육과 지역을 소생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우리에게는 농촌유학 그 자체가 핵심이라 한다면, 그로 인한 우리의 실질적인 교육력 제고가 진정 가능한지 내부 소통으로 촘촘히 따져 보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항간에 학교 현장에서의 회의적인 목소리들이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다. 교육 현장 경험 기반의 정책적 협의와 실무진들의 허심탄회한 교육적 논의와 소통도 있었을 테지만 이들의 효과성 의심의 목소리가 없는 것도 아니다.
농촌유학은 우리의 입장에서 야심차게 타진되고 논의되어야 할 일이다. 상호간 균형감도 중요하지만, 우리는 우리 아이들의 교육적 효과를 가장 먼저 따져봐야 한다. 농촌의 교육력 회복을 위해서는 학기 단위보다 더 긴 일정 기간의 지속성을 보장해야 하고, 교우관계에서 오는 우리 아이들의 정서적 충만감도 중요하다. 학생중심 미래교육 차원의 농촌유학은 우리 아이들의 교육이 중심에 있어야 한다. 이미 거쳐간 사례를 면밀히 들여다보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의 도농 간 공동 통학구 운영과 전남의 농촌유학 운영 결과가 있다. 공동 통학구도 농촌 아이들의 마음에 많은 상처를 남겼다고 현장은 말한다. 전남의 사례는 민심의 이슈를 만들어 선거에서 쟁점화 되었고, 결국 그들의 농촌유학은 기간, 방법, 운영 등에서 깐깐한 주체적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알고 있다. 교우관계의 정서적 상처도 후문으로 보태지고 있다.
정략이나 이미지가 아이들의 교육에 앞설 수 없다. 학생 수 보장 이상으로 상생의 교육 실현에 방점을 준다고 하더라도 진정한 실효성 타진은 구체화 되어야 한다. 적용 이후에 이미 사례로 노출된 부작용을 그대로 다시 남긴다면 불찰의 피해는 학생들이 감당해야 한다.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교육 실현과 교육 정책의 성공을 진정으로 기원하는 바이다.
논어의 ‘정명(正名)’에 잠시 머물러 본다. “자로가 공자에게 물었다. ‘위나라 임금이 선생님을 모시고 정치를 할 경우 선생님은 무슨 일부터 하시겠습니까?’‘그야 물론 이름을 바로 잡는 일이다.’ (중략) 그런 까닭에 군자는 이름을 붙였으면 반드시 주장과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하고 주장을 했으면 반드시 실행에 옮길 수 있어야 한다.” 당시의 사회, 윤리에 따라 이는 군군(君君), 신신(臣臣), 부부(父父), 자자(子子)의 행동과 가치에 근간을 두어 해석되지만, 오늘날은 민심으로 큰 역할과 이름을 얻은 이들에게 그 이름에 합당한 실(實)을 갖출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풀이해 볼 수 있다. ‘학생중심 미래교육’이 우리 아이 중심의 상생 교육 실현과 교육력 제고에 든든한 기반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송영주 군산동고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