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단보존회, 진안 주천면 화양산 황단대제 103주기 봉행 행사 열어

진안 주천면 화양산 황단보존회 회원들이 지난 24일 화양산 정상 3극단 일원에서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화양산 황단대제 103주기 제를 봉행한 후 3극단(제단) 뒤에 서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촬영=진안 국승호 기자

진안 주천면 화양산 황단보존회(회장 이종섭)는 지난 24일 화양산 정상에 위치한 3극단(제단) 일원에서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화양산 황단대제 103주기 제를 봉행했다.

지역의 한 유림에 따르면 황단(皇壇)은 1910년 8월 29일 일본이 조선을 강제 합병해 국권을 강탈하자, 수당 이덕응(1866~1949)이 국권회복을 기원하는 제를 올리기 위해 순종 황제의 밀지를 받아 진안 주천면 화양산 정상에 조성한 제단으로 알려져 있다. 

황단은 지난 2016년 진안군이 유형 향토문화유산 제20호로 지정했으며 지역유림들은 해마다 이곳에서 음력 8월 29일이 되면 3극(천·지·인)의 위패를 모신 가운데 국태민안 기원 대제를 올린다. 이를 황단대제라 부른다. 3극에서 천은 상제, 지는 공자, 인은 고종황제를 가리킨다. 

황단대제는 수당 이덕응이 1910년 시작한 이후 해마다 8월 29일(국치일)에 봉행했으며, 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수당 작고 후 후손들 또한 6·25전란, 코로나 등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한 번도 이를 거르지 않았다. 4대에 걸쳐 100년 넘게 지속돼 온 이 행사는 현재 명실공히 지역 유림 등 지역사회 전체의 관심행사로 자리 잡고 있다.

수당 이덕응은 중종의 아들 덕흥대원군의 11대 후손으로 연재 송병선의 제자다. 수당은 1909년 김제에서 주천면 대불리로 이주해 화양도원(사립학교)을 열어 전라도와 충청도 일원에서 모여든 250명가량의 제자를 가르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단대제 관련 자료를 보존해 온 이부용 전 진안군의회 의원은 “수당 선생의 후손이라는 게 자랑스럽다”며 “집안에서 대대로 보존해 온 수당 선생 관련 자료가 6·25때 소실된 것 말고도 현재 770점이나 남아 있지만 아직 그 내용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들이 많다. 이를 밝혀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전춘성 군수는 “서슬 퍼런 일제의 눈을 피해 국권회복을 기원하는 대제를 이어온 수당 선생 일가의 정신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며 “이제 황단대제는 국태민안이라는 본래의 큰 주제 아래 지역사회 모두의 관심 속에서 치러져야 마땅하다고 본다. 군은 이전보다 훨씬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경호 진안향교 전교, 김상기 용담향교 전교 등 지역내외 유림은 물론 전춘성 군수, 김민규 군의회의장과 다수 군의원, 정상식 문화체육과장, 문병인 주천면장, 지역사회 유지 여러 명 등 200명가량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이날 대제에선 초헌관은 전춘성 군수, 아헌관은 이강필 지산바이오 대표, 종헌관은 성만수 용담향교 장의, 집례는 이병진 마이산신제전 총무, 찬창은 안기현 용담향교 전 전교가 맡았다. 

한편, 진안 주천 개화마을에서는 화양산 정상의 3극단(제단) 말고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황단대제 관련자료를 전시하는 3극전을 건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 후손에 따르면 3극전은 과거 개화마을에 건립될 예정이었으나 6·25가 발발해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