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학업성취도 전수평가, 원하는 모든 학교 참여”

국무회의서 언급…문재인 정부서 폐지한 평가 방식
청년 정책 “청년들 양질 일자리·내 집 갖게 해야”
회의 앞서 가루쌀 빵 시식…‘밀’ 대체 신품종으로 호응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11일 일제고사로 불리는 ‘학업성취도 전수평가’에 대해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사실상 되살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지난 정부에서 폐지한 학업성취도 전수평가를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별 밀착 맞춤형 교육을 통해 국가가 책임지고 ‘기초학력 안전망’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줄 세우기라는 비판 뒤에 숨어 아이들의 교육을 방치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도 어두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고등학교생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수학, 영어 수준이 미달하는 학생이 2017년 대비 40% 이상 급증했다”며 “기초학력은 우리 아이들이 자유 시민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이명박 정부 시절 전수평가 방식으로 이뤄졌으나, 학교 서열화 조장 및 ‘줄 세우기’ 비판 속에서 문재인 정부에서는 전국 중3·고2 학생 중 극소수인 3%만 치르는 표집평가 방식으로 바뀌었다.

최근 내정된 이주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에서 학업성취도 전수평가를 추진했다.

윤 대통령은 청년 정책과 관련한 추진 과제를 보고 받고 “청년들의 꿈이 좌절되지 않도록 할 책임이 저와 국무위원, 우리 정부에 있다”며 “청년들이 공정한 출발선에 선 채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희망의 사다리를 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 문제의 핵심은 청년들의 국정 참여”라며 “이를 위해 각 부처에 청년 보좌역을 배치함과 동시에 청년 인턴 채용 제도를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이재명 부대변인이 전했다.

한편, 이날 국무회의에 앞서 국무위원들의 가루쌀 빵 시식회가 열렸다.

가루쌀은 우리나라가 전세계에서 처음 특허를 등록한 신품종으로, 밀과 같아서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가루로 만들 수 있어 밀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대변인은 “우리나라는 연간 200만 톤 가량의 밀을 수입하는데 가루쌀 보급을 확대해서 윤석열 정부 임기 내에 가루쌀로 밀 수입의 10% 가량을 충당할 계획을 발표했다”면서 “이렇게 되면 식량 안보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는 게 농식품부 장관의 설명이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농식품부 장관은 가루쌀을 ‘신의 선물’이라고 표현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