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들이 줄줄이 제주도 연수를 계획하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특히 지방의원들의 의정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2월부터 지방의정연수센터가 인근 완주에 문을 열고 운영 중임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만을 고집하고 있는데 따른 비판 목소리가 비등하다.
12일 익산시의회에 따르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익산시 지방자치연구회(대표의원 김진규)와 익산시 자전거정책연구회(대표의원 김충영)가 2박 3일 일정으로 제주도 연수를 계획 중이다.
또 1주일 간격을 두고 24일부터 26일까지 익산시 폐교활용방안연구회(대표의원 조남석)와 익산시 지역화폐연구회(대표의원 장경호) 연수가 예정돼 있다.
각 연구회는 4명에서 9명까지 의원들로 구성돼 있는데 이번 제주도 연수에 대부분이 참석할 예정이며, 연구회별로 2~4명씩 의회사무국 직원들이 동행한다.
이번 연수를 위한 예산은 의정운영 공통경비로 지방자치연구회 490만원, 자전거정책연구회 400만원, 폐교활용방안연구회 500만원, 지역화폐연구회 480만원 등 총 1870만원이 책정됐다.
여기에 사무국 직원들의 별도 여비까지 합치면 2000만원 안팎의 예산이 이번 제주도 연수에 지출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 8월 시의회는 3개 상임위원회별로 민간위탁 교육을 제주도로 다녀온 바 있다.
이처럼 7월 개원 이후 4개월 동안 제주도 교육 및 연수가 잇따르면서 관광성 연수·예산 낭비가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수사례 벤치마킹이나 선진지 견학이라는 명분을 앞세우고 있지만, 실질은 관광에 다름 아니라는 곱지 않은 시선이다.
특히 지방자치나 지역화폐 등 연구회 면면을 보면 굳이 제주도를 고집할 이유가 없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익산참여연대 관계자는 “4개의 연구단체가 공교롭게 벤치마킹이나 선진지 견학을 다 제주도로 간다고 하니, 마치 제주도가 지방자치의 요람인 것처럼 보인다”면서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내용과 활동이 의정활동의 기본이 돼야 하고 그게 선출직 의원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부분이다. 나름의 명분이 있겠지만 실제로는 외유의 다른 표현이라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연수와 같은 의정활동을 맡겨놓은 것을 찾아가는 권리처럼 생각하거나 일종의 보상 심리가 깔려 있는 것 같아 아쉽고 안타깝다”면서 “지금처럼 지역경제가 어려운 상황일수록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모습을 보이고 긴 안목으로 활동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번 의원연구단체 제주도 연수 지원을 심의·결정한 김진규 의회운영위원회장은 “지난 8월에는 의원 역량 개발을 위한 민간위탁 교육을 다녀온 것이고, 이번 제주도 연수는 각 연구단체가 제각기 주제에 맞는 연구 활동을 위해 기획한 것으로 그 성격이 다르다”며 “관광성 연수가 아니라 선진지 견학을 통해 우수사례를 직접 보고 배운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