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전문건설업체들의 수주량은 크게 증가했지만 수익성은 악화되면서 실속 없는 실적증가라는 지적이 나온다.
업체 수 증가와 업역제한 폐지로 수주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지만 자재비와 인건비 등 생산원가는 급등하면서 전문건설업계의 하반기 전망도 어둡게 하고 있다.
13일 전문건설공제조합에 따르면 전북지역 전문건설업체들의 올해 3/4분기 계약보증 건수는 2895건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 1952건에 비해 크게 늘었으며 보증금액도 5911억 8800만원으로 전년 3682억 4300만원보다 60.54%가 늘었다.
이중 원도급은 2119건에 2125억 55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계약건수가 817건, 금액은 82.04%가 늘었으며 하도급도 776건으로 126건이, 금액은 3786억3300만원으로 50.56%가 증가했다.
전문건설업체들의 계약보증 건수와 금액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수주량이 늘었다는 것인데 업계의 수익성은 크게 떨어지고 있다.
공사비가 책정된 시점과 발주 시점의 시차가 상당하기 때문에 그동안 치솟은 자재비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문건설협회가 업체들의 수익률을 파악한 결과 지난해 6~7% 정도였던 이익률이 올해는 2% 정도로 하락했다.
1억 원 규모의 공사를 해서 200만원 남짓 이익을 낸 셈이다.
수주건수와 수주금액이 늘어난 것도 현실과는 괴리감이 크다.
그동안 발주처에서 관급으로 공급해 왔던 자재를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사급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자재까지 계약금액에 포함되면서 액면가는 크게 올랐지만 실제 수행하는 공사비는 그대로 이거나 오히려 줄어들기까지 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계약건수가 늘어난 배경도 지자체들이 관내업체끼리 제한경쟁이 가능한 수의계약범위로 설계과정부터 공사를 쪼개면서 표면상으로만 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재비와 인건비 부담은 갈수록 늘어나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하반기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물가연동제가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 법제화가 되지 않아 민간공사가 많은 전문 업체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고 업체 수는 늘어났는데 업역제한 폐지로 관급자재를 포함한 3억 5000만원 이상 공사는 종합건설사도 입찰이 가능해지면서 수주 경쟁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 해 말 기준 2972개사 였던 도내 전문건설 업체 수는 올해 3100개로 늘어났다.
전문건설협회 전북도회 임근홍 회장은 “전문건설업체들의 수주량이 표면적으로는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지만 수익은 감소하면서 실속이 없는 상황이다”며 “원가부담은 커지고 수주경쟁은 더욱 치열해지면서 협회차원에서 해야 될 일이 많은데 현재 전문건설협회 중앙회장이 공석사태로 장기간 파행 운영되면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