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북한 포병사격에 "9·19합의 위반…빈틈없는 대비태세 구축”

출근길 문답 “3축은 유효한 방어체계…상당한 억제 수단”
‘선제타격’ 질문엔 “무슨 그런 얘길 하고 계시느냐” 선 그어
서해피격 감사결과에 “챙겨보지 못해…방송자막으로 봤다”
“김문수 노동현장 잘 아는 분, 진영 관계없이 네트워크”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기자들과 질의답변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출근길 문답(도어스테핑)에서 북한의 포병 사격에 대해 “남북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정부는 나름 빈틈없이 최선을 다해서 대비태세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에 ‘북한이 오늘 방사포를 발사한 것은 9.19 군사합의를 명시적으로 깬 것인데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하나하나 저희도 다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오늘 새벽까지 공군력을 동원해 소위 국가라고 하면 카디즈(KADIZ)랄 수 있는 우리 군이 설정한 남방조치선을 넘어 무력 시위하고 순항미사일, 탄도미사일로 무차별 도발하는 것 다들 알지 않느냐”며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물리적인 이런 도발에는 반드시 정치공세와 대남 적화통일을 위한 사회적 심리 공세가 따른다”며 “국민 여러분이 일치된 마음으로 확고한 이런 대적관과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헌법수호 정신을 확실하게 갖는 것이 안보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북한 도발 수준이 높으면 선제타격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엔 “무슨 그런 얘기를 하고 계시느냐”며 선을 그었다.

윤 대통령은 “언론에서 ‘3축 체계’(킬체인·한국형미사일방어·대량응징보복)가 무기력해졌다고 평가하는데 유효한 방어체계”라며 “어느 나라도 적이 선제공격하면 완벽하게 사전 대응하거나 100% 요격할 수는 없다. 그러나 대량응징보복이라고 하는 3축의 마지막 단계도 사전에 전쟁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상당한 심리적·사회적 억제 수단이 된다”고 말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새벽 9·19 군사합의로 설정된 서·동해 완충구역내로 포병 사격을 가했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감사원이 전날 발표한 ‘서해 공무원 피격사건’ 감사 결과에 대해서는 “저는 바빠서 중간발표한다는 보도를 봤는데 기사나 이런 것들을 꼼꼼히 챙겨보지 못했다”며 “결과는 방송자막으로 봤다. 챙겨보겠다”고 말했다.

또 강성발언으로 야권의 반발을 사고 있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에 대해선 “다른 것 고려하지 않고 현장 잘 알아서 인선하게 됐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노동 현장을 잘 아는 분”이라며 “제도·이론에 해박한 분은 많지만, 그분은 70년대 말~80년대 노동 현장을 뛴 분이라 진영 관계없이 네트워크를 갖고 있고 현장 아는 분”이라고 설명했다.

서울=김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