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논리 부족에 사업 선회까지.. 尹 정부 스포츠 공약 '후퇴'

남원 스포츠종합훈련원, ‘전북유소년스포츠 훈련원’으로 선회
국제태권도사관학교 설립도 답보, 국정과제 논리 외 특별한 것 없어
전북도 “특화된 전북만의 컨셉 잡고 중장기적 구상으로 접근할 것”

전북도청 전경/전북일보 DB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 전북 스포츠 공약이 2건이나 반영되면서 지역 발전의 기대감이 높았지만 사업이 선회하는 등 당초 계획과 다르게 진행돼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북도가 국정과제 발굴 과정에서 제대로 된 파악없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속 전북 스포츠 공약은 2건으로 전북스포츠종합훈련원(사업비 2000억 원)과 무주 국제태권도 사관학교 설립 사업(1400억 원) 등이다.

전북스포츠종합훈련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전북 공약으로 깜짝 발표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윤 대통령 당선 이후 전북도는 ‘새 정부 국정 과제화 정책추진단’을 꾸려 전북스포츠종합훈련원 등 현안이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 최종 대통령 인수위를 거쳐 국정과제에 반영되는 성과를 이뤘다

전북도는 국정과제에 반영된 만큼 사업 실현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실천 의지를 다졌다.

지난 7월 김관영 전북지사는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국민의힘 호남권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해 전북 현안 지원을 부탁했고 당시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적극 검토하겠다”는 답변도 얻었다.

하지만 사업은 내년도 국가예산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갑작스럽게 사업비가 4분의 1로 줄어, 490억 원으로 감소했다. 

사업 규모도 전북 스포츠 종합훈련원에서 전북 유소년스포츠 훈련원으로 바뀌었다.

이유는 기존의 진천과 평창 등에 있는 훈련원으로 선수 수요가 충분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 총 사업비가 2000억 원이 넘는 만큼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아야 하는데 그럴 경우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공약 발굴 전부터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다.

태릉과 진천, 태백 등의 선수촌은 모두 과거부터 운영됐기 때문에 선수 수요가 예측 가능했다.

특히 예비타당성조사 역시 사업비를 4분의 1로 줄이면서까지 대응할 정도이면 처음부터 경제성이 없던 것을 무리하게 추진한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또 같은 국정과제인 국제태권도 사관학교 설립 사업 역시 내년도 국가예산에 기본구상 및 설계 용역비 3억 원이 반영되지 않아 전북도의 논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현재 전북도가 제시하고 있는 사업 필요성 논리는 태권도의 한류와 올림픽 종목에서 일본의 가라테 차단, 글로벌 태권도 인재 양성 기관의 설립 등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전북스포츠종합훈련원이 대통령 공약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려면 규모를 크게 가자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 특화된 전북만의 컨셉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에 전북 유소년스포츠 훈련원으로 변경했다”며 “진천 훈련원 사례를 보면 완성까지 10년이 걸린 만큼 전북스포츠종합훈련원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구상을 갖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제태권도 사관학교 설립 사업과 관련해서는 “국회에서 반영되는 걸로 예상하고 있다”며 “논리를 잘 마련해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