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ESG 경영, 의회 차원서 정책적 대안 마련 모색”

도의회 기업하기 좋은 전북연구회 정책세미나

전북도의회 기업하기 좋은 전북연구회가 지난 24일 전북 기업의 ESG 도입과 경영 확산을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전북도의회 제공

전북도의회 기업하기 좋은 전북연구회는 지난 24일 변호사와 국민연금공단, 중소기업 관계자 등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북 기업의 ESG 도입과 경영 확산을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일컫는 말이다.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의 비재무적 지표를 고려해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의미한다.

첫 번째 발제에 나선 법무법인 영의 김도현 변호사는 글로벌기업들의 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변화의 흐름을 설명하며 도내 중소기업에서의 ESG 경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비나텍 황명구 상무는 코스닥 상장기업으로, 기업 현장에서의 ESG 경영 실무 구축 사례를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발제에 나선 기금운용본부의 이동섭 수탁자책임실장은 “국민연금기금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의 요소를 고려한 책임투자를 중시하는 이유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 증대에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회 연구책임을 맡은 권요안 의원(완주2)은 “당장 기업의 이윤 추구와 대치되는 ESG 도입은 도내 기업 입장에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면서 “정책적 차원에서 비용 지원과 교육, 인센티브제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난이 의원(전주9)은 “ESG는 기업의 투자 유치 측면과 기업 신용도 제고, 핵심 고객의 수요 관리 그리고 국제적인 규제 대응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도의회 차원에서 정책적 대안 마련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