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가 무려 5년 3개월 만에 재가동에 들어갔다. 군산조선소는 내년부터 10만톤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 블록을 생산한다. 블록 10만톤은 일반 대형 선박(길이 280m, 폭 40m, 높이 20m)을 3∼5척가량 건조할 수 있는 분량이다. 현대중공업 측은 올해 본사 직원 40여명과 12개 사내 협력업체 종사자 330명을 투입하고, 내년까지 1000여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경제적 파급효과는 약 5000억 원에 달하며, 3600여 명의 인구유입 효과도 기대된다. 만시지탄의 감이 있지만 군산조선소 재가동은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뭔가 아쉽다. 종전엔 설계부터 시작해 선박 완성까지 이뤄졌으나 이젠 재가동된다고 해도 완성품에 필요한 블록만 생산하게 된다. 생산된 블록은 울산조선소로 옮겨져 대형 컨테이너선 건조에 쓰일 뿐이다. 조선업 상황에 따라 언제든 블록만 생산하는 군산조선소는 가동 중단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기우이길 바라지만 이게 엄연한 현실이다.물론, 블록 생산이 본격화하면 고부가가치의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 등 친환경 선박 건조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도는 중소형선박, 특수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조선 생태계를 조성하고, 무탄소 엔진과 저탄소 연료 등 미래 친환경 선박과 기자재 산업 육성으로 조선업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이런 기조에서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사업으로 채택된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 조성’을 위한 국가재정사업 반영을 한덕수 총리에게 직접 건의했다. 이게 실현돼야만 비로소 군산조선소의 옛 명성을 되찾을 수 있다. 군산조선소는 매년 10척 안팎(2015년 최대 17척)의 선박을 건조하는 등 활기가 넘치는 곳이었다. 매출액은 연간 8000억원을 웃돌았고 가동 중단 직전인 2016년까지 총 70척을 건조했다. 재가동에 돌입한 군산조선소는 내년부터 대형 컨테이너선용 블록 10만톤을 제작하며, 연간 약 180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재가동이 돼도 과거와는 천양지차다. 국내 조선업 수주 호황을 발판 삼아, 블록 생산을 넘어 선박 건조도 가능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는 물론, 자치단체의 현명하면서도 집요한 노력이 펼쳐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