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2일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전북도·전주시·완주군의 상생협력사업' 문제와 관련, “상생협력은 통합 전제 아니다는 도지사 언급을 환영한다"는 입장문을 내놓았다.
완주군은 “상생의 목적지는 오직 전주와 완주 지역 주민 복지와 삶의 질 향상이어야 한다”며 강조했다.
그러나 김관영 도지사의 언급이나 완주군의 입장은 오히려 언어유희적이고, 지난 지방선거 과정에서 내놓았던 자신들의 전주•완주통합 관련 발언을 희석하는 무책임한 자세란 지적이 제기된다.
완주군은 2일 ‘양 지역 상생협력사업 관련 입장문’을 내어 완주군·전주시 간 상생협력 사업이 행정통합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김관영 전북도지사의 공식 언급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가 1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완주·전주 상생협력 사업은 양 지역의 공동 발전과 신뢰 축적을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일각에서 제기되는 행정통합을 위한 수순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밝혔다는 것이다.
완주군은 “김 지사가 상생협력은 통합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고 명확히 밝혔고, 통합 논란에 대해서도 완주군민의 뜻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했다”며 “이런 입장 발표에 감사하며, 완주군의 입장도 같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지방선거에서 김관영 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은 "당선되면 전주완주 통합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따라서 최근 전북도•전주시가 완주군을 향해 보내는 상생협력 행보는 결국 통합을 전제로 한 것일 수 밖에 없다.
유희태 군수의 경우 전주완주통합 문제에 대해 유보적 자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는 후보시절부터 전주 완주 통합 관련 질문에 대해 “과거 세 번이나 실패했다. 원인을 찾아 진단해야 한다”며 “정치적 논리로 밀어붙이기보다는 먼저 경제적 통합을 하고, 교통과 문화예술 등으로 확산시켜가는 통합이 중요하다고 본다”는 입장을 보였다.
통합의 장단점을 따져보고, 군민에 알리고, 찬반 의견을 묻는 과정을 거쳐 긍정적이라면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취임 후에도 이같은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완주군이 전북도•전주시와 조율해 잡은 상생협력사업 일정(10월31일)을 취소까지 하며 내놓은 반응은 지나치게 민감하다는 지적이다.
유희태 군수는 취임 후 기자간담회에서 "상관저수지에서 상생협력사업 첫 모델을 내놓겠다"고 공언해 왔기 때문이다. 유군수의 이같은 행보는 그동안 무려 세차례 통합 시도와 무산을 겪은 전주와 완주 주민의 시각에서 볼 때 '행정통합으로 가는 디딤돌'로 비칠 수 있다.
결국 경제협력, 문화예술협력, 교통 협력을 통해 여건이 마련되면 주민 의견을 물어 통합을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완주군은 입장문에서 “오직 양 지역민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양 지역 간 다방면의 협력이 변질이나 곡해 없이 진행되길 거듭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완주 주민 A모씨는 "뻔한 것을 두고 김관영 도지사가 정치적 발언을 한 것 같다"며 "김관영 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군수의 입장이 조금씩 상이하더라도 최근 3자가 추진한 상생협력 협약 추진의 종착점이 전주•완주행정통합이란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적어도 전주와 완주에서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