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국제공항 건설, 차질 없어야 한다

군산~제주 노선을 운항해온 제주항공이 다음달 군산공항에서 철수하기로 하면서 ‘항공오지 전북’의 해묵은 숙제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군산공항에 남은 진에어에 군산~제주 노선 증편을 요청해 도민 불편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는 임시방편일 뿐 근본 대책이 아니다.  다행히 진에어가 군산~제주 노선을 증편하더라도 이윤을 중시하는 민간항공사인 만큼 언제든 여건이 악화되면 감축 운항이나 운항 중단 결정을 내릴 게 뻔하다. 게다가 군산공항은 미군 활주로를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민간 항공기 취항에 걸림돌이 적지 않다.

결국 전북이 항공오지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만금국제공항을 독립된 민간공항으로 조속히 건설해 항공 인프라를 탄탄하게 구축하는 길밖에 없다. 이번 제주항공의 군산공항 철수 결정도 새만금국제공항 건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항공오지에서 벗어나 온전한 하늘길을 여는 일은 전북도민의 오랜 열망이었다. 그리고 2019년 1월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에 포함돼 새만금국제공항 신설이 확정되면서 이 같은 열망을 실현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6월 고시한 ‘새만금국제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공항은 사업비 총 8077억 원을 들여 2028년 완공, 2029년 개항을 목표로 2024년 착공할 예정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전북을 찾아  “새만금국제공항을 조기 착공해 공항·항만·철도 등 ‘새만금 트라이포트’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대선 후보 시절 새만금공항 조기 착공을 약속했다. 전북 신공항 건설사업이 수십년 우여곡절 끝에 가시화됐지만 낙관할 수만은 없다. 공항 건설을 위한 행정절차에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리고, 그사이 민원 등 변수가 생기면 사업이 지연될 수도 있다. 과거 김제공항 건립사업의 경우 부지매입까지 완료하고도 지역주민의 반대와 감사원의 공사중단 요구로 공항건설 계획 자체가 취소됐다.

전북도민의 오랜 숙원인 새만금국제공항은 문재인 정부가 예타면제 대상으로 선정한 데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조기 착공을 약속한 사업이다. 적어도 공항 건립 사업에 차질을 빚는 일이 없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