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지사의 인사, 도민 눈높이에 맞나

전북도와 도의회가 전북개발공사 사장 임명을 둘러싸고 충돌을 빚고 있다. 전북도의회가 서경석 전북개발공사 사장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자 김관영 지사가 임명을 강행한 것이다. 도의회는 전문성 부족과 재산자료 제출 거부 등의 이유를 들었고, 김 지사는 “경과보고서가 송부되지 않으면 의견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규정에 따랐다고 밝히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도의회는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경과보고서를 채택하지 않은 것은 사실상 강도 높게 부적정 의견을 낸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일부 도의원은 도지사실 앞에서 피켓시위까지 벌였다. 2019년 인사청문회가 도입된 이래 처음 일이다. 지방선거로 새로 출범한 전북도와 도의회가 머리를 맞대도 힘이 부족한 판에 서로 충돌을 빚고 있어 우려가 크다. 

문제는 이번 인사가 도민들의 눈높이에 맞느냐 여부다. 전북도의 출연기관인 전북개발공사를 이끄는데 전문성과 도덕성을 갖췄냐 하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이번 인사는 좋지 못한 선례를 남겼다. 전북개발공사가 양질의 서민 주택공급과 도시개발을 선도하는 막중한 임무를 지닌 기관이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대기업 임원 출신의 프로’를 내세우지만 자동차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인사여서 ‘직무 적합성’이 떨어진다. 게다가 청문회를 무시하는 태도로 보아 성실성도 의심된다. 김 지사가 임명을 강행하면서 밝힌 “천하의 인재를 찾아서 전북을 끌어당기려 한다”는 얘기가 맞지 않은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김 지사는 취임 이후 정무직·별정직·임기제 공무원 채용 인원 23명 중 상당수를 타지역 국회의원 비서관·보좌관이나 선거 캠프 출신으로 채웠다. 지역 정서와 동떨어진데다 예전 정치적 연고에 따른 정실인사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도지사 비서실장이나 공보관 등이 대표적 사례다.

물론 능력이 뛰어나고 지역을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인다면 누가 뭐라 할 것인가. 그러나 능력주의를 내세우지만 실제는 자기 사람 심기나 보은인사로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도의회 역시 그동안 맹탕 인사청문회로 일관하다 인사 청탁 등 각종 이권 개입이 먹히지 않자 인사청문회를 발목잡기로 활용해선 안 될 것이다. 도청과 도의회가 인사 철회를 포함해 도민 눈높이에 맞는 해법을 찾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