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항 상시 준설 체제 구축 여론 비등

준설 의무 소홀한 정부에 더 의존할 수 없어
누적 토사로 항만 기능 유지 난관 봉착 우려

"전북도는 군산항의 상시 준설체제 구축방안을 마련, 추진하라"

토사매몰로 인한 저수심을 개선, 도내 유일한 군산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준설공사 설립 운영 등 전북도가 상시 준설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는 항만인들의 목소리가 높다. 

토사매몰현상이 전국 항만 가운데 가장 심각한데도 정부가 준설 의무를 제대로 이행치 않는 상황이 지속됨으로써 군산항의 향후 항만기능유지가 난관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강하구에 위치한 군산항은 특성상 지속적인 토사 매몰현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어 항만의 원활한 기능 유지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토사매몰량만큼 준설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군산항은 매년 준설 수요만큼 정부 예산이 허락되지 않아 우선 시급한 곳에만 임시방편의 땜질식 준설공사가 추진돼 왔다.

그 결과 펄의 유동성으로 준설효과는 거의 없고 준설치 못하고 남은 토사만 쌓여가고 있다. 

실제 금강하구 수리현상 변화조사 결과 그동안 많은 예산이 투입, 준설공사가 진행됐음에도 2020년 1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1년 사이에 하구둑∼내항, 내항∼장항항, 장항항∼외항, 남북측 도류제 사이에 퇴적된 토사량만 3백94만4000㎥에 이르고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매년 많은 양의 토사 누적으로 하상은 높아지고 부두의 수심은 계속 낮아져 전국적으로 항만간 물동량 유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군산항은 대외 경쟁력을 갈수룩 상실하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앞으로도 계속 정부에 군산항의 준설을 의지한다면 군산항은 누적되는 토사에 묻혀 항만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안겨주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따라 군산항의 근본적인 준설을 더 이상 정부에만 의존할 수 없다는 의견이 강하게 대두됨으로써 전북도가 나서 현행 지방공기업법과 관련 조례 제정에 근거, 준설공사 설립 운영 등으로 상시 준설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군산항만인들은 " 군산항의 준설문제를 그동안 준설의무를 지닌 정부에만 의존해 왔지만 근본적인 준설 문제의 해결이 요원한다"고 들고 "정부가 준설의무를 다하지 않은 점과 군산항만의 특수성을 감안, 이제는 전북도가 나서 준설 공사 설립 운영안등으로 해양수산부와의 협의를 통해 상시 준설 체제 구축 방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안봉호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