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환경단체가 전주시가 밝힌 '전주종합경기장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중단을 촉구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1일 성명을 통해 "전주시가 오랜기간 사회적 합의 과정을 거쳐 수립된 계획을 사실상 폐기하려하고 있다"면서 "더욱이 변경된 계획은 롯데쇼핑에 개발의 칼자루를 넘겨주는 꼴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의 반발은 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 부지개발사업 방향을 '재생'에서 '개발'로 선회하는 것을 골자로 한 방침을 내놓으면 불거졌다.
지난 10일 전주시는 컨벤션타운과 문화·전시복합공간으로 계획돼 있는 전주종합경기장 부지를 전시컨벤션 산업의 거점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시컨벤션 산업의 거점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것이 전주시의 구상이다. 계획안에 따르면 전임 김승수 시장의 종합경기장 개발계획인 '1963 시민의숲 조성 사업'과 비교할 때 개발면적이 많이 늘어나는 셈이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1963 시민의숲' 조성 계획의 핵심은 롯데쇼핑의 복합쇼핑몰 부지를 당초 51.9%에서 18.7%로 줄이고 50년~99년 장기 임대하는 조건"이라면서 "롯데쇼핑의 이익 창출이 줄어드는 만큼, 종합경기장과 야구장은 시 재정사업으로 짓고 적절한 규모의 컨벤션센터와 호텔은 롯데가 짓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단체는 "컨벤션센터의 규모가 늘어나면 롯데쇼핑의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그만큼 추가 이익 창출 방법을 전주시에 요구할 것"이라며 "이에 전주시가 복합쇼핑몰 부지를 크게 넓혀주거나, 장기 임대 방식이 아닌 소유권 양도 등으로 방식을 변경할 수도 있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롯데쇼핑에 주도권을 완전히 넘겨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전주시 구상안대로 계획이 변경될 경우 사업 진행속도가 더욱 늦춰질 것이란 지적도 함께 내놓았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사업계획이 변경되면 재정심사를 다시 받아야 하고, 어렵게 확보한 국가 예산도 반납하게 될 수 있다"며 "시민의 피로감을 이유로 속도를 내겠다고 하지만 행정 변경 절차로 시행은 더 늦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민간투자사업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과도하게 의존한다면 사업성을 담보로 공공성과 공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전주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는 것인지, 롯데쇼핑을 살리겠다는 것인지 되짚어 보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