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를 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평화로운 인도·태평양을 위해서는 북한의 비핵화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제17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이같이 언급하며 “국제사회의 거듭된 우려와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ICBM을 재차 발사하거나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가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대통령실이 자료를 통해 전했다.
그러면서 “동시에 북한과의 대화의 문은 늘 열려 있다”며 북한 비핵화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에 따라 북한이 비핵화에 나선다면 전폭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EAS는 역내 주요 안보현안을 논의하는 협력체로,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회원 10개국과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호주, 뉴질랜드 등이 속해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1일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표한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을 설명하면서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는 자유로운 인도·태평양을 지향한다. 역내 자유, 인권, 법치와 같은 핵심 가치가 존중돼야 하며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은 용인되어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국제법 위반이자 우크라이나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 및 정치적 독립이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당시 윤 대통령의 옆 자리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대신 참석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자리했다.
윤 대통령은 또 미얀마 쿠데타 유혈사태와 관련, 민주주의 후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며 미얀마에서 자유와 민주주의가 다시 꽃필 수 있기를 바란다고도 말했다.
남중국해와 관련해선 “규칙 기반의 해양 질서를 수호하는 평화와 번영의 바다가 돼야 한다”며 “유엔 해양법 협약을 포함한 국제법의 원칙에 따라 항행 및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고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지난 12일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 리커창 중국 총리와 대기실에서 환담을 나눴고, 이 자리에서 리 총리는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프놈펜 현지브리핑에서 이같이 언급하면서 “윤 대통령은 상호 존중, 호혜 원칙에 기반한 한중관계 발전에 관해 기대감을 표명했고, 역시 북한 핵 문제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북한의 일련의 전례없는 도발에 우려를 표명했고, 리 총리가 한반도의 비핵화 필요성 및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에 대해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 대통령이 12일밤 캄보디아 측이 주최한 갈라 만찬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및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부부와 만나 인사를 나누는 등 짧은 환담을 했다고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이 13일 서면브리핑에서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