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에 있지 말고, 국회로 출근 하십시오.”
김관영 전북지사와 도내 14개 기초자치단체장이 이달 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 의결을 앞두고, 국회 활동에 모든 것을 걸기로 했다.
특히 재선 국회의원 출신인 김 지사는 전북도 간부들에게 “최소 필요한 인원을 제외하고 전부 국회로 출근해도 좋다”고 지시했다.
이번 예산 및 입법 성과는 김관영 전북지사와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전북도당위원장의 정치적 입지와도 직결되는 만큼 도와 정치권 내부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북도의회 갈등과 남원 공공의료대학원 설립 난항 등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는 민선 8기 전북도와 김 지사가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라도 국회 활동은 매우 중요해졌다.
11월에서 12월까지는 국회에서 지방정부의 내년 살림살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도청·시청·군청에서 업무를 보는 것보다 국회로 출근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게 김 지사의 판단이기도 하다. 김 지사 본인은 17일 다시 한번 국회를 찾아 전북특별자치도 특별법 통과와 내년도 주요현안 추진을 위한 예산확보 작업에 나선다.
김 지사는 국회를 자주 찾지 않는 부서장에 대해선 경고성 지시를 내렸다. 그는 “실무자들이 나보다 더 많은 시간을 체류하고 있어야 한다”면서 “일에도 때가 있다. 지금은 국회에서 모든 게 결정되는 시기”라고 재차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의 행보에 지난 지선에서 당선된 기초단체장도 국회 활동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실제 국회에선 도내 자치단체 관계자들이 지역특산품을 들고, 국회의사당 내 의원회관을 오가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도내 기초단체장들 역시 자신들에게 얽힌 사법리스크나 기초의회와의 관계 개선도 내년도 예산·입법 성과에 달려 있는 상황이다.
타 지역 국회의원들은 “전북이 어려운 만큼 자치단체 공무원들의 절박함도 더 하다”면서 “단체장부터 공무원들까지 우리 얼굴만 보면 ‘도와달라’고 부탁하는데 참으로 난감할 때도 있다”고 전했다.
특정부서는 사안에 따라 국장부터 과장·팀장·주무관까지 국회로 거의 모든 직원이 출장을 오는 사례도 있었다.
정치권 관계자들은 “전북지역 자치단체 공무원들의 국회 정무 활동이 투박한 편이지만, 절실함은 어느 지역보다도 생생히 느껴진다”고 평가했다. 다만 국회 활동에 있어 사전 조율이나 전북차별론을 넘어설 만한 국가적 차원의 논리개발은 아쉽다는 조언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