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노인취업센터, 위상 정립 다시 하라

노인일자리 마련을 위해 앞장섰던 전주시노인취업지원센터의 수탁기관이 바뀌었다. 각종 잡음이 일자 그동안 운영해 왔던 대한노인회 전주시지회가 손을 떼고 '사단법인 나누는 사람들'이 맡게 됐다. 기초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노인일자리 전문기관으로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던 점에 비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앞으로 전주시의 노인 취업뿐만 아니라 도내 지역 노인일자리 창출 및 방향제시에 앞장설 수 있도록 거듭났으면 한다. 

2009년 개관한 센터는 13년 동안 전주시 및 완주, 김제 등 인근 지역 노인들의 재취업 교육과 일자리 알선 등 종합적인 지원 역할을 해왔다. 공익형, 인력파견형, 시니어인턴십, 사회공헌활동, 사회서비스형 등 각종 노인일자리 사업을 운영했고 맞춤형 재교육에도 힘을 쏟았다. 또 국민연금공단과 손잡고 150명의 어르신 바리스타를 배출했으며 해마다 노인일자리 관련 심포지엄을 열었다. 특히 2019년에는 전주지역 아파트 200여 단지에 근무하는 384명의 경비원과 청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이고, 그 결과를 발표해 전국적인 관심을 집중시켰다. 노인들의 정서 함양과 정보 제공을 위해 노인영화제와 노인신문도 발행했다.

하지만 최근 센터는 각종 잡음이 일면서 위상이 곤두박질쳤다. 존립 이유까지 거론될 정도다. 지난 8월 전주시가 실시한 감사결과가 그걸 보여준다. 2019년 11월 이후 업무에 대한 재무감사 결과 시정주의 2건, 주의 6건 등 8건이 지적돼 기관경고를 받았다. 이러한 경고는 센터의 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최근 불거진 직원 간 갑질문제와 성추행 등 갈등문제도 마찬가지다. 전주시의 관리·감독 소홀과 대한노인회 전주시지회의 방관 및 태만, 센터장의 무능 등이 빚어낸 결과이기 때문이다. 

노인일자리 문제는 최고의 노인복지라 할 만큼 중요하다. 빈곤·무위·고독·질병 등 소위 노인의 4고(苦) 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다. 그런 점에서 노인일자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순노무직 탈피와 베이비부머에 맞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개선할 일이 많다.

이번 센터의 수탁기관 교체를 계기로 업무의 범위와 방향, 인력구조 등 노인일자리 전문기관으로서 위상을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다. 노인복지관이나 시니어클럽 등과 차별화된 센터만의 방향을 찾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