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관광지 민간개발사업 일환으로 425억원의 사업비 중 83억원이 투입된 짚와이어가 불과 개장 3개월 만에 문을 닫았다.
14일 당초 이번 사업은 남원관광지간 연계로 체험형 관광기반시설 도입해 체류형 관광거점 도시로 선도하는데 기대가 모아졌다.
그러나 현재는 민간개발 사업자인 남원테마파크와 위탁 운영사, 남원시 간 법적 공방이 이어지며 파행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남원테마파크는 동절기를 맞아 8월 말일부터 개장한 짚와이어 시설을 재정비하고 이달 1일부터 한시적으로 운영을 중단한다고 지난 8일 밝혔다.
남원시가 실시협약을 이행하지 않아 영업 시작이 늦춰졌고 홍보 협조가 이뤄지지 않아 재정 및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짚와이어 시설 위탁 운영사인 A 업체가 사전 합의된 용역투입 및 영업활동 등을 이행하지 않고 용역대금을 부당하게 청구했다고 설명했다.
남원테마파크는 새로운 위탁 업체를 선정하거나 시설을 직접 운영하는 방안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반해 A 업체는 지난 6월 27일 남원테마파크와 1년에 7억 6323만원을 12개월(월 6000여만원)로 분할, 2년간 지급하기로 한 위탁운영 계약 체결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남원테마파크는 5개월 간 5000만원만 지급했고, 2여억원의 운영비는 커녕 일방적인 계약 해지 통보와 함께 사무실을 비우라고 통지했다는 전언이다.
수 개월동안 위탁료를 받지 못한 A업체는 모노레일과 짚와이어 시설 전체에 가압류를 신청했고 경매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남원테마파크는 지난달 10일 남원시를 상대로 전라북도행정심판위원회에 민간개발사업 관련 사용 수익 허가 의무 이행 행정심판을 청구했다.
이에 대해 오는 28일 심리가 열릴 예정이다.
사업 제안 당시보다 현저히 적은 출자금 조달과 위법한 실시협약 상 독소조항, 시설물에 대한 안전성 미확보 등이 쟁점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북일보 취재 결과 지난 2019년 5월 남원시가 처음 제출받은 사업 제안서에는 총사업비 330억원 중 20%인 66억을 출자하기로 돼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는 남원테마파크가 설립되고 투자비는 425억원으로 증가, 출자금은 불과 4.7%에 그치는 20억원으로 확인됐다.
초기 사업 제안과 현저히 다른 재무 구조인 셈이다.
시는 해당 실시협약서는 명시적으로 위법한 조건이 붙은 기부채납이라는 독소조항이 있어 법률상 의무가 없고 사용 수익 허가는 부적합하다는 입장이다.
A 업체 관계자는 "사업제안서와 달리 이용자가 극히 적어 적자운영에 원금과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채 짚와이어 운영이 멈춰 1차 부도라는 말이 나돌고 있을 정도다"면서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