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추가 이전 총력전 펼쳐야

정부가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지역균형발전과 지방시대 실현 의지를 피력하면서 전북도정의 대응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5일 주재한 ‘제1차 국정과제 점검회의’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추경호 경제부총리를 비롯, 대통령실 각 수석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당정 고위관계자, 국민 100명이 함께했다. 한 총리는 정부 국정 성과와 청사진 발표에서 “수도권 공공기관도 추가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2차 이전은 이르면 내년 3~4월께 세부계획 윤곽이 드러나고 하반기부터 이전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대상은 360개나 된다. 국가 불균형 발전의 한가운데 서 있는 전북의 경우 이전에 대한 당위성을 그동안 꾸준히 피력해 왔으나 단순히 소외나 낙후론만 가지고는 턱없이 부족하다. 누가 보더라도 논리적 타당성이 있어야지 제3자가 볼 때 징징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볼썽 사나울 뿐 아니라 큰 성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전북혁신도시는 전북 10개 혁신도시 중 가장 빠르게 자리를 잡은 곳으로 꼽힌다. 두말할 나위 없이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한 농업관련기관이 집적화한데다 미흡하기는 하지만 국민연금공단을 중심으로 금융기능이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 하나라도 유치하기 위해 뛰고 있는 전북으로서는 제2차 공공기관 이전에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때다. 

민간기업 분야가 극히 취약한 전북으로서는 파급력이나 영향력 있는 공공기관을 얼마나 가져오는가에 따라 지역발전이 크게 좌우될 것이기 때문이다. 전북도는 공공기관 추가유치 타당성 논리 개발, 입지선정을 위한 행정적 작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미 탄탄한 논리가 마련돼 있었어야 하나 지금이라도 서둘러야 한다. 나주시의 경우  ‘공공기관 2차 이전 TF팀’을 구성, 혁신도시로 1차 이전한 공공기관과 연관성이 높거나 지역 비교우위 분야 시너지 극대화에 나설 계획이다. 부산시는 2차 이전 희망 공공기관을 정해 균발위에 의견서를 전달할 계획이다. 타 시도가 얼마나 발 빠르게 뛰고 있는지를 보면 등에서 식은땀이 날 정도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신도시에 이전하지 않고, 기존 시가지로 옮긴다는 정부 당국자의 발언이나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문을 닫은 교육시설이나 공공시설을 활용하겠다 입지 구상안도 눈여겨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