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다룬 총체 연희극 '가자, 황토현으로!' 서울에 뜬다

오는 28, 29일 이틀간 서울 도봉구민회관서 공연 개최
창작판소리연구원의 총체 연희극...전통예술 흥과 멋 담아
정읍 풍취 살리고 역사성 더하는 데 집중한 극 구성

28, 29일 공연을 앞두고 있는 창작판소리연구원의 총체 연희극 <가자, 황토현으로!> 출연 배우들이 연습을 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의 황토현 전승을 다룬 총체 연희극 <가자, 황토현으로!>가 서울에 뜬다.

창작판소리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오는 28, 29일 이틀간 서울 도봉구민회관에서 총체 연희극 <가자, 황토현으로!>를 공연한다.

극은 수운 최재우의 검무 칼노래 칼춤을 시작으로 사발통문, 고부봉기-났네 났네 난리가 났어, 안핵사의 횡포, 앉으면 죽산, 서면 백산, 초토사 임명, 호남창의대장소, 전진과 후퇴, 기고만장 관군진영, 황토현 전투 등 총 10장으로 구성돼 있다.

임진택 명창이 도창을 맡아 극 전체를 이끈다. 극을 통해 다양한 전통예술의 흥과 멋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했다. 풍물패의 연희부터 택견 팀의 무예 연기, 차전놀이, 진도북춤, 배우들의 마당극 연기, 판소리 전통 춤 등을 극에 담았다. 이중 풍물패의 연희 중 전투 장면은 정읍 농악의 진풀이로 그려 동학의 고장인 정읍의 풍취를 살리고 역사성을 더하는 데 집중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공연의 대미인 마지막 장 '황토현 전투'에는 차전놀이와 풍물, 택견, 전통 춤과 배우들의 연기 등을 어우러지게 기획해 압도적인 장면을 만들었다. 판소리와 전통 춤의 협연으로 조선 말기 고단했던 민중의 삶을 표현하는 등 섬세하게 연출했다"고 말했다.

극은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은 작품으로, 전석 초대 무료 공연이다. 공연 예약은 유선 전화(010-3675-1518)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극의 연출은 '혜화동 1번지' 4기 동인으로 대학로에서 연극 <아름다운 지옥>, <행복탕>, <우연의 왈츠> 등 다수 작품을 연출한 베테랑 연출가 김혜영 씨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