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가 마침내 국보로 지정됐다.
발견된지 14년만에 국보 승격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 익산은 백제역사 문화도시로서의 위상을 다시한번 드높이게 됐다.
27일 익산시에 따르면 백제시대 공예의 정수(精髓)로 알려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사리를 불탑에 안치할 때 사용하는 용기나 함께 봉안되는 모든 공양물)가 문화재청으로 부터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고시를 받았다.
사리장엄구는 지난 2009년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사업 중에 발견됐다.
장기간의 보존처리와 학술조사를 거쳐 지난 2018년 보물로 지정된 사리장엄구는 현재 국립익산박물관 대표유물로 전시되고 있다.
특히 사리장엄구는 익산 미륵사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국립익산박물관 건립의 동력으로 큰 역할을 함으로써 이번 국보 승격은 의미를 더하고 있다.
사리장엄구는 2009년 1월14일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 탑 구조의 중심을 이루는 기둥)의 사리공(舍利孔, 불탑 안에 사리를 넣을 크기로 뚫은 구멍)에서 나온 9900여점의 유물이다.
이번에 지정된 국보는 639년(백제 무왕 40년) 절대연대를 기록한 금제 사리봉영기(金製 舍利奉迎記)와 함께 금동사리외호(金銅舍利外壺) 및 금제 사리내호(金製 舍利內壺), 각종 구슬과 공양품을 담았던 청동합(靑銅合) 6점을 포함해 총 9점이다.
금제 사리봉영기에는 백제 왕후(좌평(佐平)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가 재물을 시주해 가람을 세우고 기해년(639년)에 사리를 봉안해 왕실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무왕조에 전하는 미륵사 창건설화를 구체화해 미륵사지 석탑의 조성 연대와 주체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밝혀져 사리장엄구 중에서도 가장 주목되는 유물이다.
사리내·외호는 그릇 표면의 연판문과 당초문 등이 생동감 넘치게 표현되었고, 몸체의 허리 부분을 돌려 여닫는 독창적인 구조로 기형(器形)의 안정성과 함께 세련된 멋이 한껏 돋보인다.
6점의 청동합 중 하나에는 ‘상부달솔목근(上卩達率目近)’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시주자의 신분과 공양품의 품목까지 알 수 있어 사료적 가치 크며, 각종 공양물 넣어 봉안된 청동합들은 우리나라 유기(鍮器) 제작 역사의 기원을 밝혀 줄 중요한 자료이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이번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국보 승격으로 백제왕도 익산의 위상이 재조명되고 있어 감격스럽고 문화재청, 국립익산박물관과 더불어 잘 보존하여 후대에 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