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새만금 투자의 성패를 가를 새만금 수상태양광 전력계통 연계와 관련해 전북도와 정치권이 한국수력원자력의 결단을 촉구하며 전면전에 돌입했다. 새만금의 첫 대기업 투자가 걸린 이 문제는 향후 전북 기업 유치의 '바로미터'가 되는 만큼 전북도와 정치권 역시 사활을 걸고 있다.
28일 전북도에 따르면 김관영 전북도지사와 국민의힘 정운천 의원은 내년 1월 12일 한수원 사장을 만나 새만금 수상태양광 전력계통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면담의 관건은 한수원이 문제 해결책을 내놓느냐에 있다.
앞서 지난 22일 전북도 국장과 정 의원은 한수원 부사장을 만나 한수원의 전력계통 연계 선(先) 투자 또는 한수원의 발전사업권 민간 이관 등 새만금 수상태양광 사업 정상화를 위한 한수원의 결단을 촉구했다. 사업 추진 의지가 없다면, 한수원이 인센티브로 받은 0.3GW(약 6600억 원) 규모의 발전사업권을 민간사업자에 이관해서라도 사업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취지다. 실제로 발전사업권을 인센티브로 받은 민간사업자들이 한수원의 발전사업권에 상당한 관심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은 이 같은 요구에 대해 다음 면담 때까지 문제 해결책을 고민해 보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만금 수상태양광 사업은 새만금 일대에 1단계 1.2GW, 2단계 0.9GW 등 총 2.1G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설비와 전력계통 연계를 위한 송‧변전설비 등을 구축하는 대규모 국책 프로젝트다. 관련 사업비도 총 4조 6200억 원에 이른다.
1단계 사업권은 새만금개발청이 0.5GW, 한수원이 0.3GW, 전북도·군산시·김제시·부안시가 0.4GW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사업자 9곳 중 6곳(0.7GW)만 선정을 마쳤다. 새만금개발청, 김제시, 부안시의 사업자 선정이 남아 있다.
새만금 수상태양광 송·변전설비 공사는 최소 30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신속한 착공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난 1년여간 유찰이 반복되면서 착공이 지연됐다. 그나마 지난 6월 5차례 유찰 끝에 송·변전설비 공사 사업자(한화건설컨소시엄)가 선정됐지만, 한수원은 사업자의 '선 공동 분담'을 고수하며 착공을 미루고 있다. 사업자 선정 지연으로 공용 시설(송·변전설비 등) 공사비 분담이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진행시킬 수 없다는 게 한수원의 입장이다.
그러나 2018년 10월 정부 부처와 한수원은 "사업자 선정 전까지 사업에 투입될 비용을 한수원이 총괄 투자(선투자)하고, 향후 비용을 용량별로 분담한다"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전북도와 정치권은 이를 근거로 한수원의 '선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SK는 새만금개발청 등에 내년 초를 새만금 수상태양광 사업의 '데드라인'으로 제시한 상태다. SK가 인센티브로 받은 0.2G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사업권과 2조 원 규모의 데이터센터가 전력계통 연계에 발이 묶여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한수원에 전력계통 연계 선투자부터 발전사업권 민간 이관까지 새만금 수상태양광 정상화 방안을 폭넓게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며 "한수원이 책임 있는 답변을 들고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