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숙원사업인 '노을대교' 건설이 4차례 유찰되면서 입찰 방식 변경이 검토되고 있다. 시공사 선정 지연으로 사업이 차질을 빚는 가운데 입찰 방식 변경이 효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29일 전북도에 따르면 노을대교 건설사업 입찰공고 사전심사 신청서 제출을 마감한 결과 금광기업 컨소시엄 1개만 단독 참여해 유찰됐다. 지난 7월 13일(1차), 9월 27일(2차), 10월 27일(3차)에 이어 4번째 유찰이다.
익산국토관리청은 지난 6월부터 조달청에 턴키(설계·시공 일괄 입찰) 방식으로 입찰 공고를 해왔다. 4차례 모두 금강기업 컨소시엄만 단독 입찰하며 유찰됐다. 건설사들이 입찰 참여를 꺼리는 주된 이유로는 낮은 공사비로 인한 사업성 저하가 거론된다. 국제 공급망 불안정으로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해 적자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익산청이 총공사비를 기존 3449억 6000만 원에서 3575억 2000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이와 관련 전북도와 익산청은 설계·시공일괄 입찰이 아닌, 발주청에서 설계를 한 뒤 발주하는 기술제안 입찰로 입찰 방식을 변경해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설계·시공일괄 입찰은 총사업비 변경이 어렵지만, 기술제안 입찰은 총사업비 증액이 가능한 부분이 있다"며 "입찰 방식 변경을 통해 유찰 가능성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을대교 건설사업은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와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를 잇는 총 8.86㎞ 해상 다리를 말한다. 국도 77호선의 유일한 단절구간인 이곳에 교량이 생기면 차량으로 70분 우회했던 거리를 10분이면 주파 가능하다.
당초 4차선으로 계획됐지만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2차선으로 도로 폭을 감소시켰다. 이후 지난해 8월 제5차 국도·국지도 계획에 반영되면서 사업이 본격 추진됐다. 정부는 총 3870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30년 노을대교를 완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공사 선정이 4차례나 유찰되며 목표로 한 올해 착공, 2030년 완공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