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또 다른 시각

장세균 한민족 대외관계사 연구소 이사장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일방적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의 완승으로 끝날줄 알았던 것이 근 일년을 끌어가고 있다.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 푸틴의 야망이 빚은 참극으로 알고 있는 것이 일반적 견해요 통념이다.

그러나 우리의 일반적 통념과는 다르게 이번 전쟁의 원인은 푸틴이 아니라 미국과 나토로 보는 견해가 다른 나라도 아닌 미국 시카코 대학의 정치학자인 미어 샤이만 교수와 세계적으로 유명한 언어학자이자 인권 운동가인 노암 촘스키 교수로부터 나온 것이다.

미어 샤이머 교수는 말하길 이번 전쟁은 2008년 4월에 우크라이나와 조지아를 나토의 일부로 만들려고 했던 미국과 나토의 잘못된 계획의 결과라는 것이다. 과거에도 러시아인들은 1999년과 2004년에 나토의 2차례 확장을 눈감아 주었다는 것이다. 나토는 결국은 1999년에 체코, 폴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를 나토에 가입시켰던 것이다. 이미 그 당시에도 미국은 조지아 우크라이나를 나토에 가입시키려고 했으나 러시아가 단호하고 분명하게 반대했던 것이며 조지아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지정학적으로 러시아에 대한 '실질적 위협'으로 느꼈기 때문이다. 사실상 러시아의 최접경국인 우크라이나와 조지아는 미국을 향해서 친미 정책을 취하고 있었던 것이다.

나토는 역사적으로 볼때 1949년 12개국으로 첫 발을 내디뎠던 것인데 나토는 러시아와 원래의 약속을 어기고 동쪽을 향한 동방정책으로 동유럽 및 중부 유럽의 체코, 헝가리, 폴란드를 시작으로 현재는 모두 30여개국의 군사 동맹체제로 되어 있다. 그동안 러시아는 바르샤바 동맹의 같은 동지였던 동유럽 국가들이 나토에 가입할 때마다 서방을 향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으며 우크라이나 조지아가 러시아의 마지막 레드 라인임을 분명히 해왔던 것이다.

2008년 4월 4일 루마니아 부크레슈티에서 있었던 나토 정상 회담에서 나온 정상 선언문에 조지아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희망을 환영한다는 언급은 러시아인들에게 실질적 위협을 느끼게 했다는 것이다. 2014년 2월 조지아에서 친러 성향의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전복되고 친미 성향의 대통령이 탄생하자 러시아는 미국의 음모와 개입으로 이런 정변이 일어났다고 믿었던 것이다. 이후에 러시아는 위기를 느낀 나머지 우크라이나에서 크림 반도를 빼앗아간 것이다.

과거 1961년 소련의 후르시쵸프가 미국 코 밑에 있는 쿠바에 장거리 미사일 기지를 설치하려고 했을때 미국 케네디 대통령은 제3차 세계대전의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러시아의 장거리 미사일 기지 설치를 막으려고 했던 것처럼 러시아 역시도 조지아와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쿠바나 캐나다 맥시코처럼 완충국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노암 촘스키 교수는 원론적인 입장에서 말하길 1990년, 즉 소련의 붕괴 시기에 그 당시 미국 국무장관인 제임스 베이커는 러시아의 서기장인 고르바쵸프에게 말하길 나토는 현재 상태에 만족하며 동쪽으로 단 1인치도 나가지 않겠다고 말했는데 지금은 동쪽으로 나가도 너무 멀리 나갔다는 것이다. 미국의 국가간의 약속 위반이 오늘의 우크라이나 사태의 배경이라는 것이다. 두 교수의 주장은 오늘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놓고 무조건 러시아 푸틴에게만 돌을 던질 수 있겠느냐이다.

/장세균 한민족 대외관계사 연구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