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내년 1월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TF 형태의 과 단위 전북특별자치도추진단을 구성·운영한다. 향후 도는 조직 개편을 통해 한시기구인 추진단을 정식기구인 국 단위 특별자치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전북도는 4일 "전북특별자치도의 차질 없는 출범을 위해 전담조직 운영이 필요하다"며 TF 형태의 전북특별자치도추진단 구성·운영 구상을 밝혔다.
전북도는 조직 개편 전까지 1개 단(전북특별자치도추진단), 3개 팀(특별자치도 기획팀·특례정책팀·홍보협력팀), 14명 규모로 TF 형태의 전담조직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단장은 정책기획관이 임시로 맡는다.
전북특별자치도추진단은 전북도의회 등과의 협의를 거쳐 국 단위의 정식기구로 확대·개편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도는 6월 정기 인사 전에 모든 행정 절차를 완료한다는 목표다.
전북도 관계자는 "민선 8기 최초 현안법 제정 성과인 만큼 완벽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현재의 정책기획실 기획팀 지원 체제로는 특례 발굴 등 현안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전담조직 구성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앞서 강원도는 지난해 6월 10일 강원특별자치도법 공포 이후 1달 만인 7월 1일 과 단위인 강원특별자치도추진단(20명)을 출범하고, 10월 20일 국 단위인 특별자치국(41명)을 신설했다.
전북도는 전담조직 구성과 함께 전북특별자치도 종합계획 수립 용역(10억 원)도 추진해 나간다.
용역은 크게 전북형 특례 발굴과 전북 몫 찾기 두 가지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북형 특례의 경우 규제 완화와 조세 특례 등 기업 유치, 지역대학 정원·학과 조정 권한 이양 등 교육 자치 등을 구체화하는 작업에 나서게 된다. 또 전북 몫 찾기와 관련해서는 호남권 공공·특별행정기관 전북 설치 등이 검토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