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이 보름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하지만 대명절을 앞두고도 서민들은 설렘보다 한숨이 앞선다. 최근 고물가·고금리 기조 속에 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서민·취약계층의 생계부담이 커지고 있다. 당장 제수용품을 구매해야 하는데 장바구니 물가가 걱정이다. 실제 최근 계속된 혹한 및 폭설로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데다 설 명절 수요와 맞물려 장바구니 물가 상승 우려는 더 높아지고 있다. 새해 전기요금을 시작으로 공공요금 인상이 줄줄이 예고된 상황에서 자영업자들의 한숨도 깊어진다. 새해에도 지난해에 이어 당분간 5%대 물가상승률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때맞춰 정부가 설 민생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서민들의 물가부담을 줄이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성수품을 공급하고,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나서는 한편 에너지바우처 단가 인상을 통해 취약계층의 전기·가스 요금 등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내용이다. 이어 각 지자체에서도 속속 대책회의를 열고 설 명절 물가·민생 안정 대책을 내놓고 있다.
힘겨운 시기, 모두가 편안하고 행복한 명절을 맞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가 장바구니 물가와 사회 불안 요소를 철저하게 점검해 민생안정 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전북도에서도 설 연휴 코로나19 예방과 물가·민생 안정 종합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명절을 코앞에 두고서 매년 비슷한 내용의 형식적 대책을 내놓고 그것으로 끝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소상공인과 저소득층 등 상대적으로 더 어렵고 소외된 계층이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지역경제 활력 제고와 취약계층 지원에 역점을 둔 실효성있는 대책이 요구된다. 해마다 설과 추석이면 꼬박꼬박 발표되는 재탕 삼탕의 형식적 대책이 아니길 기대한다.
아울러 근로자들이 명절 연휴에까지 임금체불로 고통받는 일이 없도록 체불예방과 조기청산 대책도 필요하다. 물가상승·금리인상 등으로 민생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임금체불이 우려되는 취약 분야를 중심으로 현장 중심의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 강력하게 시행해야 한다. 이와 함께 축산물 판매업소를 대상으로 한 축산물 위생관리 실태 및 원산지 허위표시 단속도 보다 강력하게 추진해 식품안전에 대한 당국의 의지를 보여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