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대기업 계열사 5개 유치 선택과 집중 필요

지역 경제계 국내 대기업 LG, 롯데, SK, CJ와 해외 테슬라 등 거론

전북이 대기업 계열사 5개 유치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지역 경제계에서 대두되고 있다. /사진제공=클립아트코리아

전북 대기업 계열사 5개 유치라는 전북도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역경제계에서 나오고 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지난 5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 자리에서 올해 전북도정의 최우선 목표를 경제 활성화로 내세우며 “임기 내 대기업 계열사 5개 유치라는 공약을 지키기 위해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것”이라고 다시 한 번 의지를 표명했다.

최근 전북 외에도 강원과 충북 등지에서는 대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며 치열한 눈치작전을 벌이고 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유치를 민선 8기 대표 공약으로 꼽았다.

강원도 원주시에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업을 유치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삼성 반도체 공장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구체적인 청사진도 밝혔다.

강원도는 경제부지사로 정광열 삼성전자 전 부사장을 임명하고 반도체 교육센터를 건립하기로 하는 등 의지를 드러냈다.

충북도는 전기차 필수부품인 이차전지와 관련된 사업을 겨냥하고 지난해 말 산업통상자원부에 테슬라 전기차 생산기지 유치 의향서를 제출하는 등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경남도는 투자유치와 창업지원 등 도정 핵심 부서인 과장급 직위에 전문성을 갖춘 인사를 공개 채용하고 도지사 직속으로 투자유치자문위원회 운영 등을 운영한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타 시도에 비해 전북의 경우 수도권과 접근성이 떨어지고 강성 노조, 인프라 부족 등 타 지자체와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 위기와 고금리, 고물가 등 여파로 대기업에서도 투자 위축 경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북의 대기업 유치는 그리 녹록지 않은 분위기다.

전북경영자총협회 김동창 상임부회장은 “김관영 지사가 임기 내 대기업 계열사 5개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내는 물론 해외 대기업을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공략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전북의 주력 산업이자 강점 분야인 신재생에너지, 스마트팜 등을 위해 LG, 롯데, SK, CJ뿐 아니라 해외에서 테슬라 등을 공략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대기업 유치를 위해 국내 30대 기업을 접촉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대상은 아직까지는 밝힐 수가 없다”면서 “대기업 투자 유치 타깃 기업을 발굴하고 지역으로 유치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