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석 전북교육감이 계묘년 새해를 맞아 미래교육, 수업혁신, 기초학력 등 10대 핵심과제를 공개하고 '학생중심 미래교육' 대전환에 본격 나섰다.
서 교육감은 11일 신년 기자회견을 갖고 "전북교육청은 교육가족과 도민 여러분들의 성원으로 2023년 예산으로 총 4조 6000억 원을 확보, 학생중심 미래교육의 돛을 높이 올리고 힘찬 항해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며 "실력과 인성을 키우는 교육으로 희망을 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6개월은 소통과 협력으로 '전북교육 대전환'의 기틀을 다지고 '학생중심 미래교육'의 새로운 정책을 설계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면서 "올해는 속도감 있게 미래교육환경을 구축, 수업혁신으로 학생들의 미래역량을 키우고 '교육 대전환'을 이루기 위한 혁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도교육청은 이날 △미래교육 △수업혁신 △인사제도 개편 △행정 혁신 △작은학교 살리기 △교권과 학생인권의 조화 △ 문예체 교육 강화 △학생 해외연수 본격화 △미래학교 운영 등 10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서 교육감은 "우선 에듀테크 교실로 대전환을 시작하겠다"면서 "올해 초·중·고 학생들에게 노트북 등 스마트기기를 보급하고, 전자 칠판도 단계적으로 설치하겠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올해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 약 6만5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어 "미래를 바꾸는 힘은 수업혁신에 있고, 수업혁신은 수업 공개로부터 시작된다"면서 "교사들끼리 수업을 공개하고 서로 참여하면서 개선점을 찾고 수업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2023년을 '기초학력 책임'의 원년으로 만들겠다"면서 "기초학력만큼은 반드시 책임지겠다"고 역설했다.
서 교육감은 이 밖에도 농어촌학교 근무 가산점 축소와 도시 대규모학교 가산점 신설 등 인사제도 개편, 절차를 위한 절차 폐지를 통한 행정 혁신, 농촌유학 확대와 교장공모제 도입을 통한 작은학교 살리기, 학생인권과 교권의 조화로운 균형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